소개글
활동수준표는 비 의존적이므로 비어있음, 수정시 해당 환자 상태에 따라 체크
목차
1. 사전학습
I. 복부의 해부학적 위치와 소속 장기
Ⅱ. 위, 간, 담도, 췌장, 소장, 대장 해부 생리
Ⅲ. 질환 및 수술법(영양 영역)
Ⅳ. 복부 수술 전 주요 간호
Ⅴ. 복부 수술 후 주요 간호
Ⅵ. 수술 후 식이 단계의 종류와 구분 (예: NPO, SOW, LD, SD, GD 등)
Ⅶ. 기타 질환(조절, 배설 영역)
Ⅷ. 관련 검사, 시술, 처치 (목적, 준비, 검사 과정, 검사 전/중/후 간호중재)
2. 사례보고서
Ⅰ. 일반적 사항
Ⅱ. 주호소
Ⅲ. 현병력
Ⅳ. 과거력
Ⅴ. 가족력
Ⅵ. 간호력
Ⅶ. 신체사정
Ⅷ. 검사결과
Ⅸ. 투약력
Ⅹ. 의미있는 자료
Ⅺ. 간호진단
본문내용
위
위치 : 복부 기준으로 RUQ에 위치, 위에 윗부분은 횡격막, 아래 뒤로는 췌장이 위치한다. 식도와 십이지장사이에 존재한다.
크기 : 공복시에는 주먹크기 정도지만 식후 최대 20배까지 커진다. 위의 용량은 약 1,500cc이며, 한국인 성인의 평균용량은 남자가 1,407cc, 여자가 1,275cc 정도이다.
검진방법 : 간-비장 스캐닝, 초음파, 경피 간 생검, CT, MRE, 위 내시경 등등
기능 : 소화 : 기계적 소화, 위액을 통한 화학적 소화,
살균작용 : 위산을 통한 살균작용
특성 : 위에서 음식물이 약 40분에서 수 시간까지 존재한다. 부교감신경으로 인해서 위운동과 분비가 자극 되고 교감신경으로 억제 작용이 일어난다. 분문샘(cardiac gland) : 점액을 분비한다.주세포(chief cell) : 점액과 펩시노겐을 분비하고 펩시노겐은 벽세포에서 분비되는 H에 의해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으로 전환된다. 벽세포(parietal cell) : 위액을 산성으로 유지시키는 염산과 수분을 분비하며, 장에서 비타 B12 흡수에 필수적인 내인자(intrinsic factor)를 생산한다. 경부세포(neck cell) : 점액을 분비한다. 유문샘(pyloric gland) : 가스트린과 점액을 분비한다.
가스트린은 위 벽에서 염산 및 펩시노겐의 분비를 증가시기고 위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간
위치 : RUQ, 쇄골중앙선 기준으로는 5~7늑간부터 6~12cm 정도에 위치 앞 정준선에서는 검상돌기 부터 4~8cm
크기 : 성인의 경우 1.2kg, 좌위 25cm 앞뒤 14cm, 높이는 7cm
검진방법 :
촉진 : 왼손을 대상자 등에 뒤로 높어 11,12 늑골을 들어 올린다. 오른손은 RUQ 에 두고손가락과 쇄골 중앙선과 평행하게 한다. 우측 늑롤연 아래로 깊게 밀어 내린다. 대상자에게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매 호기마다 오른손을 1~2cm 위로 이동시킨다. 흡기 시 횡격막이 간을 아래로 밀어 손끝에 간의 가장자리를 촉진한다. 비만인 환자에게는 갈고리 촉진법을 사용한다. 정상일 경우 간의 경계는 부드럽고 견고하며 규칙적으로 만져진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1(2015) 수문사
Karen Whalen저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2015) 신일북스
Lippincott Advisor. (2015). Imbalanced nutrition : less than body
http://advisor.lww.com.ymlproxy.yonsei.ac.kr:8000/lna/document.do?did=363184
Eldanor D. Schlenker 외. (2012). 영양과 식이요법. 서울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