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관절염(OA)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7.11.11
- 최종 저작일
- 2017.04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대상자 기초 자료 수집
3. 간호대상자의 수술 전 진단적 검사
4. 간호대상자의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5. 수술전 처치 및 간호상태 확인표
6. 간호대상자의 수술 전·후 임상병리검사
7. 간호대상자의 수술 후 검사
8. 간호대상자의 수술 전·후 치료 및 경과
9. 간호대상자의 수술 후 초점사정
10. Maslow의 인간욕구단계에 따른 우선 순위 결정
11.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소감
Reference
본문내용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관절염은 관절 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연골조직이 점차적으로 파괴되어 발병하는데 이렇게 되면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들이 서로 부딪히게 되어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현재 골관절염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활막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 하고있는 추세이다. 55세 이상 성인의 80%가 골관절염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가지고 있고 50세 미만일 경우에는 남자의 발병률이 높으며, 50세 이상일 경우에는 여성의 발병률이 남자에 비해 두 배나 더 높다. 주로 60세 이후에 발생하는데, 60세 이후 노년층 여자의 25%, 남자의 15%에서 발생하며 55세에서 65세 사이의 연령층에서는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방사선 검사 시행시 85% 정도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이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골관절염은 보통 퇴행성관절염으로 알려져 있고, 중년과 노년층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질환 중 하나인데, 이렇게 흔하게 발병되고 있는 질환인 만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수술, 간호의 필요성을 느껴 연구를 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정의>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 질환, 퇴행성 관절염 이라고도 불려지며, 국소적인 관절에 점진적인 관절 연골의 소실 및 그와 관련된 이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원인>
골관절염은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연령, 선천적 기형, 유전적 소인, 물리적 긴장, 외상, 비만증, 골격기형, 신경, 내분비, 혈액학적 질환, 약물 등과 연관되어 있다. 특히 노인여성에서 유병율이 높은데 이는 폐경기 이후에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
논문 (족관절 전치환술의 최신 지견-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2014)
for nurse Review book, 의학교육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