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과제입니다.프로그램 개발과 평과 - 프로포절 과제와도 중복됩니다.
프로포절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목차
Ⅰ. 서론1. 개요
2. 치매란?
2-1. 치매의 정의
2-2. 치매의 증상 및 진단
2-3. 치매의 유형과 특성
2-4. 치매의 치료
Ⅱ. 본론
1. 집단프로그램 계획단계
1-1. 대상자 선정이유 & 프로그램 필요성
1-2. 프로그램 목적 & 목표
1-3. 프로그램 적용모델
1-4. 합리·정서행동치료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 구성
1-5. 프로그램 참여대상자 소개
2. 집단프로그램 진행
2-1. 프로그램 계획서
2-2. 회기별 프로그램
Ⅲ. 결론
1. 척도
1-1. 사전·사후 비교
1-2. 분석
2. 향후계획
본문내용
1. 개요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우리 사회의 치매 노인 인구 또한 2016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명 중 1명 꼴인 약 65만명인 시대에 이르렀다.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질병인 ‘치매’는 더 이상 노인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세대가 함께 준비해야 하는 문제이다. 치매는 분명한 의식혼란을 보이기보다 지남력·인지기능의 상실, 반복적인 행동, 편집증 등과 같이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저하시켜 삶의 질을 저해시키는 질병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치매지원의 초점이 중증치매에 맞추어져 있어 경증치매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매는 완치가 불가능한 퇴행성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을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한다면, 치매의 진행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상자를 경증 치매노인으로 설정하여 조기에 개입함으로서 치매노인들로 하여금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를 이끌어내고 보다 건강하게 자신의 상태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2. 치매란?
2-1. 치매의 정의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를 말한다. 또한, ‘치매환자’란 치매로 인한 임상적 특징이 나타나는 사람으로서 의사 또는 한의사로부터 치매로 진단받은 사람을 말한다. (노인복지법, 제정 2011.8)
의학적인 정의로는 정상적으로 유지하던 사람이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뇌기능 장애, 질병 등으로 인해 지적 능력이 상실되는 경우를 치매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뇌기능의 발달장애나 뇌성마비는 치매로 분류하지 않는다. 즉, 치매란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기능이 후천적으로 광범위한 질환에 의해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력을 포함한 다발성 장애로 의식의 장애가 없이 지적능력이나 기억력의 감퇴가 지속되는 임상증후군으로 이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크고 작은 여러 지장들을 초래하는 생활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경우를 일컫는다.
참고 자료
경증 치매 노인의 요양 형태에 따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2013년 2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도시행정학과(도시환경정책 전공) K-MMSE (노인 인지기능 평가) 척도통계청: www.kostat.go.kr
이데일리 뉴스 ‘고령화의 그늘’ 치매인구 65만명…19만명 치료 사각지대
한국치매미술치료협회 http://chimaeart.com/dementiaall.html·
한국미술심리치료협회 http://www.kapa.pe.kr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http://www.mohw.go.kr/front_new/sch/index.jsp
[네이버 지식백과]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혈관성 치매 [vascular dement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나남 출판 김혜란「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우지원,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 조사 및 활동 정리」2010
영남일보 - 경증치매·인지저하노인들의 ‘즐거운 학교’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61019.01012074008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