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실습 2017년 3월에 작성한 케이스 입니다. 제왕절개 사례연구구요. 교재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 (레포트 참고하지 않음)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 고찰
제왕절개 (Cesarean section)
(1) 정의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
(2) 적응증
이전 분만 시 제왕절개술을 시행했거나 자궁근종 제거술 같은 자궁수술을 받은 경우, 난산으로 인한 분만 진행이 안 되는 경우, 태아의 위치 이상, 태아곤란증, 전치 태반, 태아의 건강이 위협받은 경우 등에서 제왕절개를 통해 분만합니다.
제왕절개술의 5대 적응증
1. 아두골반 불균형
2.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3. 아주 심한 자간전증
4.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5. 태아 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
(3) 수술 방법
1. 복부를 가로로 절개하거나 정중선으로 수직 절개합니다.
2. 자궁을 절개합니다.
3. 태아를 분만시키고 탯줄을 자릅니다.
4. 태반을 꺼낸 뒤 자궁 내부를 확인합니다.
5. 자궁 절개선 및 복벽을 봉합합니다.
<중 략>
(6) 수술 후 간호
1-2시간 동안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v/s 측정한다.
착추마취 시 다리 감각이 회복될 때까지 앙와위 취하는 것을 돕는다.
절개부위 드레싱 상태, 자궁 저부, 오로 양, 정맥 주입량, 유치도뇨관을 통한 소변 배설량 사정한다.
호흡기 합병증 예방을 위해 체위변경, 심호흡과 기침, 조기 이상을 격려한다.
통증 감소를 위해 약물을 투여한다.
퇴원교육: 식이, 운동, 활동 제한, 유방 간호, 피임, 성생활 등
병원에 연락해야할 합병증: 38도 이상의 고열, 배뇨 시 통증, 심한 오로, 상처이개, 수술 부위 발적 이나 분비물, 심한 복부 통증
지지집단이나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하도록 돕고, 전화 추후관리나 퇴원 후 프로그램을 통해 산모의 회복을 돕는다.
제왕절개분만 후 통증 완화법
움직이거나 기침 시 베개로 수술 부위지지
음악이나 호흡 같은 이완요법 사용
복부에 더운 물주머니 대기
가스통증 예방: 빨리 걷기, 가스 생성 음식 피하기, 음료수 빨대로 먹지 x, 흔들의자 사용하여 몸 움직이기
참고자료
· 서울 아산병원 건강 정보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5
· 수문사, 제8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p.487 – p.49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