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검사
6. 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간호중재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은 뇌에서 혈액 공급 장애로 인한 신경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뇌졸중은 허혈성과 출혈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로의 혈전성 혹은 색전성의 혈류차단에 의해 유발된다.
이는 모든 뇌졸중의 약 83%를 차지한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 의해 일어난 뇌 조직 손상정도의 예방은 혈전용해치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증상발생 후 3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2. 뇌졸중의 원인
①혈전 : 혈전은 혈관의 내막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시작된다. 죽상경화증이 주요 원인이다.
죽상경화증은 혈관 벽에 지방물질을 축적하고 플라크를 형성하게 한다. 이는 계속 커지고 동맥의 협착을 초재한다.
또한 혈전성 뇌졸중은 당뇨병 환자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②색전 : 뇌 밖에서 색전이 형성되고 떨어져나가 뇌동맥에 축적되어 폐색될 때까지 뇌혈류를 통해 떠다닌다. 가장 흔한 색전은 플라크이다.
만성심방세동은 색전성 뇌졸중의 높은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색전의 원인으로는 종양, 지방, 박테리아, 공기가 있다.
참고자료
· 대한병리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2013). 핵심 병리학. 서울: JMK
·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2013). 성인간호학 volume 2. 서울: 정담미디어
·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미상). 허혈성 뇌졸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08&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6 에서 2016년 11월 12일 검색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