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심리학의 역사(성격심리학의 발전과정, 성격심리학 성립과 기초, 성격심리학의 방향)
- 최초 등록일
- 2017.10.27
- 최종 저작일
- 2017.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I. 인간에 대한 관심
II. 문학과 성격심리학
III. 성격심리학의 과거
1. 4가지 기질론
2. 인상학과 골상학
3. 필적학
4. 정신의학의 성립
IV. 성격심리학의 성립과 그 기초
1. 프로이드의 성격이론
2. 정신측정학
3. 행동주의
4. 형태주의 심리학의 영향
V. 성격심리학의 방향
1. 건강한 성격에 대한 연구
2. 생리학적 신경학적 결정변인에 대한 연구
3. 중년, 노년기의 성격변화에 대한 연구
4. 성격특성과 환경요인의 상호작용 연구
본문내용
I. 인간에 대한 관심
성격심리학의 성립이 극히 최근에 시작된 학문이라고 하더라도 자기 자신 또는 자신이외의 인간에 대한 관심은 인간사회의 성립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극히 오래된 현상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의 역사서에는 이미 제왕, 영응호걸들의 사적과 그들의 인간성이나 성격에 대한 기술이 수많이 남아 있다. 특히 고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학작품은 주인공의 성격이나 그 인간성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예컨대,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계자로서 알려져 있는 데오프라투스(Theophrastus, B. C. 372-287)가 쓴 "도덕모습의 의미"가 이 방면에서 사람의 성격을 묘사한 책으로는 가장 오래된 책으로 취급된다. 이후 이와 비슷하게 성격묘사 또는 개인의 성격에 대한 서술이 19세기 프랑스의 모랄리스트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예컨대, 브류옐(Bruyere, J. 1645~1696)의 "성격론" 등이 그 하나로 "데오프라스투스의 성격론. 부제 : 금세기의 성격과 풍습"이란 서명으로 출판되어있다. 영국의 심리학자 베인(Bain, A. 1818-1903)도 데오프라스투스의 성격론에 흥미를 갖고 이를 번역한 바 있다.
이처럼 성격 또는 개성에 대한 기술은 고대로부터 시작되어 출판된 것이 많으나 이러한 관심이 심리학의 문제로서 논술되기 시작한 것은 1867년 '성격학'이란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반젠(Bahnsen J.)에 의해서이다. 그러나 당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트(Wilhelm Wundt, 1832-1920)의 실험심리학의 초창기로 심리학이 실험적 방법에 의한 개성이라든가 성격과 같은 것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당시 밀(Mill, J. S. 1806-1873)과 같은 연구자는 실험심리학과는 별도로 '성격의 과학' 으로서의 '인성론(ethology)'을 주창하였고, 딜타이(Dilthey, W. 1888-1911) 등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에 대하여 정신과학적 심리학을 주창하여 인간에 대한 과학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참고 자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 / 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 / 동서문화사 / 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