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환아의 진단명과 전반적 질병경과 및 치료과정 간략한 요약
3. 문헌고찰
1)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2) 관찰한 질병에 대한 문헌과 대상 아동과의 비교
4. 간호과정
1) 자료수집
A. 일반적 사항
B. 건강력
C. 신체 사정 ( Physical assessment )
E. 진단 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①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② 경구, 비경구 투약과 정맥 주입
5. 참고문헌
6. 교육자료
7.#1. 기침,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7.#2.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7.#3. 환아의 질병과 관련된 보호자의 불안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저항력이 약한 아이들은 감기나 호흡기 질환에 쉽게 걸린다. 특히 ‘크룹(Croup)’은 치명타를 안겨주는 복병이다. 초기 증세가 감기와 엇비슷해 방심하기 쉽다. 또한 재발이 잦고, 증세가 심해지면 아이의 기도가 좁아져 심한 저산소증과 피로감에 따른 호흡 곤란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감기쯤으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큰코다친다. 목이 쉬거나 변성이 되고 숨을 들이마실 때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크룹(Croup)’에 걸린 아이는 처음 며칠 동안은 콧물과 열만 나기 때문에 대부분 부모들이 단순한 감기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증세가 심해지면 산소가 부족해 아이의 입 주위가 파래질 수 있어서 단순히 감기인 줄 알고 방치했다가는 생명이 위협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부모들의 적극적인 대처가 중요하다.
이렇게 감기와 비슷한 ‘크룹(Croup)’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여, 감기로 오인해 생명을 위협받지 않도록 하고 적극적인 대처를 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2) 연구기간 : 2011년 5월 2일 ~ 2011년 5월 7일
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 첫날 실습을 가서 인계를 듣는데 폐렴 등과 같은 익숙한 진단명이 아닌 생소한 Croup이라는 질병을 접하게 되었는데 이 병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조금이나마 알아보고자 하여 이 사례를 채택하게 되었다.
2. 환아의 진단명과 전반적 질병경과 및 치료과정 간략한 요약
1) 환아의 입원 시 진단명 : Acute obstructive laryngitis (Croup)
2) 전반적 질병경과 및 치료과정 : 입원동기 상기일부터 cough 있고 밤부터 barking cough, oral intake pour & feeding 후 vomiting(4회/Day)있어 본원 ER 들러 PO처방 받아 귀가하였으나 cough 지속되어 다음날 Local clinic들러 급성 후두염 이야기 듣고 큰 병원 권유받아 본원 ER 통해 입원함. 현재 주증상은 cough, rinorrhea, sputum, vomiting임.
· 오진아 외,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2008
· 오진아 외, 아동건건강간호학 2, 수문사,2008
·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8
·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
·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8
· 안효섭 편, 홍창의 소아과학 제8판, 대한교과서, 2004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편, 1996 최신지견 내과학, 군자출판사, 1997
· 대한내과학회 편, HARRISON'S 내과학 제2권, 도서출판 MIP, 2006
· 김조자 외,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간호과정 접근, 현문사, 1999
· 이경혜 저, 알기 쉬운 간호과정, 신광출판사, 1995
· 서울대학교병원 편,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 전시자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04
·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최영희 외,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1999
· 임난영 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현문사, 2000
· 양진향 외, 기본간호학 1 2007, 현문사
· 양진향 외, 기본간호학 2 2007,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