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방암의 정의
2. 유방암의 원인
3. 유방암의 병기
4. 유방암의 증상과 징후
5. 유방암의 진단
6. 유방암의 치료
7. Bone Metastasis
8. 환자에 대한 간호
본문내용
1. 유방암의 정의
: 유방 조직에 악성 종양이 생긴 질환. 기원 부위, 침투의 유무, 분화도에 따라 분류 된다.
관상(유관) 암종 : 관 상피에서 기원한 암종. 90%이상을 차지한다.
소엽성 암종 : 소엽으로부터 기원한 암종. 관상 암종을 제외한 나머지 암종
비침투성 암종 : 초기의 암종으로 자신의 기원 부위에 한정되어 머무름.
침투성 암종 : 다른 조직으로 확장되는 경우.
① 침윤성 유관암
∘ 유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한 경우
∘ 전체 유방암의 약 75-85%를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유방암
② 침윤성 소엽암
∘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 전체 유방암의 약 5-10%를 차지함.
∘ 예후는 침윤성 유관암과 비슷하지만, 침윤성 유관암에 비해 다발성 및 양측성의 빈도가 더 높다.
③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이다.
∘ 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할 경우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음.
④ 소엽 상피내암(비침윤성)
∘ 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생긴 암. 소엽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암.
∘ 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 양측성의 빈도가 높다.
∘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할 경우 침윤성 유관암 및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한다.
<중 략>
4. 증상과 징후
∘ 유방 종괴(만져지는 덩어리) : 유방암의 증상 가운데 약 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증상. 유방에 종괴가 있을 때에는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함. 주로 상와부 쪽에 발생.
∘ 유두 분비 : 한 유관에서 맑은 색의 분비물 분비. 유방 종괴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며 전체 유방암 환자의 1%정도만 유두 분비 증상을 보인다.
∘ 유두에서 피가 분비되는 혈액성 유즙 분비 : 대부분은 관내 유두종 등 양성 질환으로 인한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유방암의 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음.
∘ 이 외에도 유방암이 진행됨에 따라 피부의 궤양, 함몰, 겨드랑이 종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유방의 염증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 상권 제6판, 조경숙 외 3명 지음, 현문사
· 병리학, Leonard V. Crowley지음, 포널스 출판사
· 환자가이드북 유방암, James MMetz, M지음, 엘스비어코리아
· 모성,여성간호학 , LOWDERMILK 외 3명 지음, 현문사
· 국립암센터 홈페이지
· 약학정보원
·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 한국 유방암 학회 http://www.kbcs.or.kr/main/main.html
· 서울대학교 유방센터 http://www.breastsnu.org/
· 한국 유방암 사이버 센터 http://www.kbccc.org/
· 세브란스 암병원 http://sev.iseverance.com/cancer/index.asp?ssoPassFlag=Y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구글이미지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