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케이스)수족구병
- 최초 등록일
- 2017.10.15
- 최종 저작일
- 2014.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ⅰ. 일반적 사항
ⅱ. 과거력
ⅲ. 현병력
ⅳ. 전반적 건강상태
ⅴ. 가족사항
ⅵ. 질환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ⅶ. 사회생활
(3) 특수치료 및 검사소견 기록
(4) 진단적 검사 및 결과
(5) 투약 기록
(6) 대상자 간호과정 기록
간호과정 1.
간호과정 2.
(7) 참고문헌
본문내용
Hand-foot-and-mouth disease
1) 정의
손과 발에 입안에 물집이 잡히는 병이다.
손발이나 입안에 물집과 발진, 궤양이 생기는 ‘수족구병’환자가 최근 잇따라 병원을 찾고 있어 어린이가 있는 가정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장내 바이러스와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수족구병은 생후6개월에서 5세까지의 영유아들이 주로 걸리는데 전염성이 강해 놀이방이나 유치원등 보육시설을 통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져나가는 특징이 있다.
2) 원인
콕사키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의 비인두 분비물이나 대변이 주된 직접적인 감염원이다. 주로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감염되지만 청년기에서도 발생된다. 잠복기는 3~5일로 전염성이 높은 시기는 첫 증상이 나타날 때부터 수포성 발진이 사라질 때까지이나, 대변으로 배출되는 바이러스는 수주일에 걸쳐 전염성이 있다.
원인균은 RNA 바이러스에 속하는 콕사키 바이러스(Coxsakie virus)로 그 중에서도 A16형과 엔테로바이러스의 71형 등의 장내 바이러스로 주로 환자에게서 비말감염하고, 때로는 분변 등에서 경구 감염된다. 이병은 호흡기와 대변, 침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감염된다. 감염의 발생률은 성별과 무관하나 남자아이가 더 심한 증세를 보이며 소아들 사이의 감염, 가족 내 감염도 쉽게 일어난다.
3) 병태생리
장바이러스에 의하며 주로 분변-경구 또는 경구-경구 경로를 통하여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4) 임상증상
수족구병은 임상 발현율이 높은 질병에 속한다. 체내와 체외의 발진은 취학 전 아동에서는 거의 100% 나타나며, 취학 아동에서는 약 40%, 성인에서는 10%정도로 알려져 있다.
초기증상인 미열, 식욕부진, 콧물, 인후통 등이 콕사키바이러스에 노출된 3~5일 후에 나타나며, 초기증상이 나타난 지, 1~2일 후에는 3~5mm의 특이한 회색 수포성 발진이 손바닥, 발바닥, 입술에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입 안의 발적되고, 혀와 볼 점막, 후부인두, 구개, 잇몸과 입술에 수포가 나타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미예외(2010),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파주시 : 수문사
이강이외(2012), 간호실무자를 위한 건강사정, 강남구 : 현문사
성미혜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파주시 : 수문사
차영남외(2013), 제3판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강남구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