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1.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정의
2.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7대 원칙
3. 일상생활과 공공시설에서의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
Ⅱ. 본론
1.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 ‘편의시설’
2. 편의시설 사례 (경기도 화성시 복합복지타운 나래울)
가. 휠체어 진입 가능한 목욕탕 디자인
나. 휠체어 사용자를 배려한 강당 무대 진입용 리프트
다. 야외 공연장의 경사식 좌석
3. 휠체어 사용자를 배려한 편의시설
가.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 변기 디자인
나.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음수대
4.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유니버셜 디자인
가. 환자를 위한 유니버셜 환경디자인
나. 노인을 위한 유니버셜 환경디자인
다. 도시인을 위한 유니버셜 환경디자인
라. 주민을 위한 유니버셜 환경디자인
Ⅲ. 결론
1.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평가와 생각
2.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 조사에 대한 소감
Ⅳ.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Ⅰ. 서론1.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정의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이란 연령이나 성별, 국적, 장애의 유무나 연령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 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만민공통이 편리한 디자인으로 ‘Design for All’ “모두를 위한 설계”라고도 한다.
2.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7대 원칙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7대 원칙은 유니버셜 디자인을 최초로 주장한 로널드 메이스(Ronald Mace)가 건축가, 디자이너, 엔지니어등과 협력하여 만든 것으로 유니버셜 디자인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7대 원칙
첫째,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으로, 누구라도 차별감이나 불안감,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공평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다양한 능력을 지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고 판매될 수 있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둘째, 사용상의 융통성 (flexibility in use)으로, 서두르거나, 다양한 생활환경 조건에서도 정확하고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폭 넓은 개인의 선호도와 능력을 수용하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셋째,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simple and intuitive)으로, 직감적으로 사용방법을 간단히 알 수 있도록 간결하고, 사용 시 피드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사용자의 경험, 지식, 언어능력, 혹은 현재의 집중도와 관계없이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이어야 한다.
넷째, 인지할 수 있는 정보(perceptive information)로, 정보구조가 간단하고, 복수의 전달수단을 통해 정보입수가 가능한 한 것이어야 한다. 주변의 조건이나 사용자의 감각 능력에 관계없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참고 자료
유니버셜 디자인 (21세기 환경 및 제품디자인 이론과 실제), 이연숙, 연세대학교 출판부유니버셜 디자인 연구 (디자인의 사용성과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유니버셜디자인 연구센터
문화시설 유니버셜디자인 길잡이, 문화체육관광부, 2013.9
지방자치단체 구축 공공환경에서의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 (경기도 화성시 복합복지타운 나래 울을 중심으로), 류미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2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lemoncookie_?Redirect=Log&logNo=60203959660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유니버셜 디자인 ppt 14페이지
- 도시문화와 디자인 A+ - 레포트, 보고서 5페이지
- 유니버셜 디자인 사례 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