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인지발달의 기초
Jean Piaget( 1896-1980)는 그의 이론에서 인간의 지적능력이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인지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곧 인간의 지적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하는 과정과 그 변화의 양상을 아는 것이다. Piaget는 마치 생물체가 환경에 순응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구조를 바꾸어 가듯이 인간도 환경내의 사태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활동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의 인지구조를 재구성해 나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Piaget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이루어지는 데에는 생득적 요인인 성숙(maturation)과 더불어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끊임없이 받는다고 생각하고, 환경적 요인을 환경내의 사물을 대상으로 한 지적활동인 물리적 경험(Physical experience)과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인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s)으로 나누고 있다. 성숙 ․ 물리적 경험 ․ 사회적 요인이 발달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는 하나 Piaget는 이들 요인들을 적합한 방식으로 통합하고 조정하는 개인의 내재적 능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평형화(equilibration)라 부르고 있다. 평형화는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인지구조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인지발달의 핵심 기능이다.
Piaget는 평형화는 기본적으로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의 두 기능의 통합과정이다. 동화란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scheme) 또는 구조 속에 외재의 대상들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물건을 잡는 도식을 가진 아이가 손에 닿는 것은 무엇이나 잡는 과정이나, 물체가 물 위에 뜬다는 인지구조를 가진 유아가 여러 물체를 물위에 띄워 보는 과정은 동화에 속한다.
Piaget이론에서 조절은 자신이 가진 기존의 도식이나 구조가 새로운 대상을 동화하는 데에 적합하지 않을 때 ......<중 략>
참고자료
·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