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실험이론
기체의 양과 온도, 부피, 압력 사이의 관계는 기체 상태 방정식으로 주어지는데 대부분 기체는 온도가 충분히 높고, 압력이 충분히 낮은 상태에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pV = nRT)을 만족한다. R은 “기체 상수”라는 기본 상수로 0.082L*atm/mol이다. 이 실험에서 산소 혹은 이산화탄소 기체의 압력(p) , 부피(V), 몰수(n)와 온도(T)를 측정하여 기체 상수를 결정하게 된다.
KClO3를 가열하면 산소 기체가 발생하고 KCl 고체가 남게 된다. MnO2는 KClO3의 분해 반응에 촉매로 작용하여 산소 발생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때 발생한 산소 기체 부피는 장치에서 밀려나간 물의 부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시약병 위쪽에는 산소 기체와 함께 수증기도 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산소 기체의 압력을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서는 따로 표를 이용하여 압력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때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532&cid=40942&categoryId=32227
· [네이버 지식백과] 기체상수 [gas constant, 氣體常數]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808&cid=40942&categoryId=32232
· [네이버 지식백과] 부분압력 [partial pressure, 部分壓力]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3912&cid=40942&categoryId=32233
· [네이버 지식백과] 증기압 [vapor pressure, 蒸氣壓] (두산백과)
· http://blog.naver.com/mizziey/220070902235 오차의 원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3660&cid=43667&categoryId=43667
· [네이버 지식백과] 베르누이의 정리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 http://blog.naver.com/62311803/70083111631 기체의 부분압력 구하는 방법과 이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