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과 발달
아동은 걸어다닐 수 있었고, 엄마가 없는 상황에서 “엄마”라고 말하며 엄마를 찾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동에게 볼펜을 주자 볼펜을 쥘 수 있었고 노트에 볼펜으로 아무렇게나 선을 긋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낯선 사람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고 불편한 상황이 닥치면 말하기 보다는 칭얼대고 짜증내며 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증기흡입치료시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를 씌우려하자 마스크에 입을 대고 입에 넣으려 하는 모습을 보았다.
따라서 해당아동은 프로이드의 심리, 성적 발달이론 중에서 구강기(1세 전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중에서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중에서 감각운동기(출생직후~2세)에 해당한다.
가정환경
아동의 가정환경은 파악할 수 없었지만, 실습기간동안 입원해 있는 아동을 보았을 때 곁에 항상 할머니가 있었고, 엄마가 자주 방문하여 아이의 증기흡입치료를 돕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