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 헌 고 찰
[ 미숙아 (prematurity) ]
1. 정의
미숙아란 WHO의 정의에 의하면,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출생 시 신체 장기가 미숙하여 각종 질병에 걸릴 이환율이나 사망률이 높다. 특히 호흡기 질환, 뇌실 내 출혈, 감염 및 괴사성 장염 등에서 오는 문제들이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생아 집중치료법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급격히 향상되어 출생체중이 1,000gm 이하인 경우에도 잘 자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졌다.
1) 저출생 체중아 : 출생시의 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
2) 극소 저체중아 : 1500g 미만의 신생아
3) 초미숙아 : 출생체중 1000g 미만의 신생아 (체중 불확실한 경우는 재태 28주 미만)
저출생 체중아의 약 2/3는 미숙아이고, 나머지 1/3은 부당경량아(SGA infant)인데, 미숙아의 출생 빈도는 약 4-8%, 저출생 체중아는 약 6-8%, 극소 저출생체중아는 약 1%이다. 영아 사망의 약 2/3가 저출생 체중아이다.
2. 원인
1) 태아이상 : 다태임신, 태아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수종, 선천성 기형, 32주에 머리 하강, 태아절박가사(fetal distress)
2) 태반이상 : 태반기능부전,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양막 파열
3) 모체측 요인
① 생리적 요인
이전의 미숙한 분만경험, 입덧/임신오조, 유산․사산 또는 저출생 체중아 출산경험, 20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의 산모연령, 양수과다증, 산전 출혈, 자발적 분만개시, 자궁 허약, 동종면역(isoimmunization), 빈혈이나 비정상 헤모글로빈, 저혈압, 불충분한 체중증가, 출산력(0또는 4명 이상), 임신전 체중 45.5kg 미만, 모체 영양부족, 152cm 미만의 키, 임신 중독증, 감염에 대한 비면역 상태, 유해물질 노출, 섬유증, 자궁내 감염, 신장이나 심장 질환 등의 모체질환, 비뇨생식계 기형 또는 수술, 임신동안 2.3kg의 체중감소, 마지막 출산 후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