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序論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교육의 목표와는 달리 대학입시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초점이 맞춰지면서 교육이 출세를 위한 도구로 전락해버렸다. 이로 인하여 사교육 過熱, 수능에서의 不正行爲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성적에 대한 압박감으로 悖倫을 저지르거나 자살을 하는 등의 각종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폐단들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入試위주의 교육이 학생들 간의 競爭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교육이 경쟁을 조장하는 현재의 상태는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과거경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왕권강화와 국가운영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양성 및 선발이 주요 과제였다. 이에 成均館, 4部學堂, 鄕校 등 官學을 정비해 국가의 이념적 기반인 유학을 교육했으며, 과거제를 통해 국가운영에 필요한 관료를 선발했다. 하지만 관학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본래의 취지가 흐려지게 되자 쇠퇴하였다. 이에 書齋와 書堂, 書院 등의 私學이 朝鮮의 교육을 주도해나갔다. 사학 중에서도 서원은 교육의 장소이자 향촌사회를 선도·교화하며, 지방문화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특정가문의 위상을 드러내거나 붕당의 거점으로 이용되면서 각종 폐단을 발생시켰다. 이는 오늘날 사교육이 한국의 교육을 주도하며 입시위주의 교육행태를 이룩해 각종 폐단을 발생시킨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科擧制는 能力主義 이념과 客觀的이고 公正性을 지닌 選拔制度이며, 관료를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관료는 地位, 權力, 富를 일시에 占有함으로써 대단한 사회적 威勢를 지녔었다. 그렇기 때문에 관료가 되기 위한 사회적 경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科擧경쟁으로 이어졌다. 科擧경쟁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문의 사회 생존권 차원에서 필사적으로 이루어졌다. 과거 경쟁이 심각해짐에 따라 유교 교육은 道를 깨우쳐 仁을 실현한다는 목적과 달리 과거 合格의 手段으로 轉落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유교 공부의 목적은 道를 깨우쳐 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과거 합격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