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PICO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2.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3. 간호진단 목록
4. Maslow 욕구 단계에 따른 우선순위
5.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이다. 종류로는 제1형 당노병과 제2형 당뇨병이 있으며,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이에 따른 인슐린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데 소아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또한, 제2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나오는 인슐린은 충분하거나 심지어 정상보다 더 많지만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감소와 췌장에서 필요한 것보다 적은 양의 인슐린만이 분비되어서 혈당이 올라가는데 대부분 40세 이후의 성인에 잘 생긴다.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18세 이하의 소아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2006년 약물치료중인 제1형 당뇨 환아의 수가 4,076명이었던 것에 비해 2015년에는 5,338명으로 31%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약물치료중인 제1형 당뇨 진료인원은 여자가 남자보다 다소 많은데 지난해를 기준으로 여자는 2,879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36.6%가 증가한 것으로 반면 남자는 같은 기간 2,459명으로 24.9%의 증가율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소아 인구감소율을 감안해 인구 10만 명 당 전체 환자수를 산출해보면 지난 9년간 10만 명 당 환자는 지난해 55.3명으로 2006년 35.6%보다 55.3%가 증가로 제1형 당뇨병 환아의 수가 점점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형 당뇨병 소아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 1례, 정환희 외 3명, 2008
제 1형 당뇨병 환자의 진단 및 혈당조절 목표, 김재현, 2015
제1형 당뇨병은 흔히 혈당을 조절하기 어렵고 평생 인슐린을 투약해야 하며 미세혈관 합병증 중 당뇨병 소아의 60%에서 망막이 침범되고, 15-20%에서 신장이 침범된다. 또한, 소아당뇨병은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성장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고, 소아당뇨병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소아 당뇨병의 위험인자, 치료과정을 알고 회복을 돕기 위해 연구하고자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