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 노인자살에 대한 현황조사 및 원인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마련 보고서
*정*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노인 자살에 대한 정의, 현황, 정책과 서비스 등에 대해 논문, 법률, 지자체 조례, 기사, 서적 등을 통해 찾아 보았습니다.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여러가지로 도출했습니다. 총 35장이고 A+받은 자료니까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그대로 복사해서 제출하시면 안 됩니다.목차
Ⅰ 노인자살 개념II 노인 자살 현황 및 원인
2-1. 노인 자살 현황
2-2. 노인 자살 원인
① 신체적 특성
② 심리적 특성
③ 사회적 특성
④ 경제적 요인
⑤ 길어진 여가시간
⑥ 질병과 건강보호 문제
⑦ 역할(일자리)의 유지와 부여
III 서비스 및 정책과 개선방안
3-1.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지원
3-2. 독거노인 사랑잇기
3-3. 노인자살예방센터 (시립서대문노인복지관)
3-4. 노노(老老)케어
3-5. 보건복지부 ‘희자씨와 친구들을 위하여’ 프로그램
3-6.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
3-7. 한국자살예방협회
Ⅳ 노인자살 정책과제
4-1. 단기 과제
4-2. 장기 과제
Ⅴ 참고자료
5-1. 참고 논문
5-2.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Ⅰ 노인자살 개념: 자살을 뜻하는 단어인 Suicide는 라틴어에서 ‘스스로’를 의미하는 Sui와 '죽이다'라는 뜻의 caedo의 합성어이다. 즉, 자기 자신을 죽이는 행위를 지칭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김충선, 1994). 자살은 자신의 행동이 죽음을 몰고 올 수 있음을 알면서도 스스로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이며 (장일순, 2004), 단지 자신의 삶을 끝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아 있는 주변 사람들과의 일종의 의사소통이며, 스스로 자신의 삶을 끝내는 행위를 통해 살아서 충족시킬 수 없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의도의 표현이라고 정의하는 사람도 있다 (박형민, 2008). 특히, 노년기는 신체적 쇠락, 배우자 또는 주변 사람들의 죽음,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 직업 및 경제력 상실 등의 여러 가지 상실을 경험하는 시기다. 이러한 노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이 밖의 다양한 상실을 수용하고 노화로 인해 변화된 자아상과 앞으로 다가올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따라서, 노년기에 이와 같은 개인적 상실과 스트레스에 대해 잘 준비하고 대처할 경우 성공적 노화를 경험하게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심리적 안녕 상태의 불균형이 생기고 무기력과 절망감을 경험하여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한다.
II 노인자살 현황 및 원인
2-1. 노인자살 현황
: 보건복지부에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가입 국가 중 ‘노인 빈곤율 1위, 노인 자살률 1위’라는 부끄러운 지표에 머물고 있고, 노인 자살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국가에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경제구조적인 문제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정신적인 외로움과 소외감으로 인한 우울증, 노동력의 상실로 인한 경제적 빈곤, 이로 인한 육체적 고통 및 질병 발생 등이 노인자살의 원인이라고 추측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와 노력에도 불구하고서 노인자살률은 2020년까지는 1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견된다.
참고 자료
5-1. 참고논문박영미, 제갈돈, 김병규 (2016).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28(3), 439-464
이현아, 이준우 (2016).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성과의 의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CISM연구소 연구기획실장•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660-668
이현아 (2017).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성과 측정을 위한 질적 지표 구성 요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9(1), 141-169
통계개발원 사회통계실 (2007). 「노인자살의 현황과 원인 분석」
김은주 (2016).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자살생각, 우울을 중심으로-」, 13-17
한국자살예방협회,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2008, 보건복지가족부
김형수,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노인과 청소년 자살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06, 겨울호(통권 34호), 한국노인복지학회, 271~292
김형수, 한국자원봉사협의회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노인과 자살」
강은정, 이수형, 김효진(2013). 자살예방정책의 우선순위 및 추진방식 효율화방안조사, 국회예산 정책처, p.11
김현지(2008).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살생각관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복순(2011). 「노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하상훈(2000). 「노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p11
백홍두 (2014). 「노령화 사회의 노인 자살특성과 노인정책 과제 연구」, p40-55
5-2. 참고 사이트
독거노인종합센터(www.1661-2129.or.kr)
통계청(http://kostat.go.kr)
보건복지부(www.mohw.go.kr/front_new)
복지로(http://www.bokjiro.go.kr)
노인자살예방센터(www.i-snsp.or.kr)
한국노인의전화(www.nointel.org)
노인 자살 위험 측정 진단표 (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31/*************.html)
<고령사회 눈앞에…"노인 일자리 쿼터제 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CWV47SX-E3s
외롭고 아픈 노인들..."사회 안전망 넓혀야"
https://www.youtube.com/watch?v=P2VQorJDTDA
75세 넘어도 일하는 대한민국 노인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217422
"남성 독거노인, 아내와 살 때보다 자살 위험 2.3배"
http://www.pandora.tv/view/yunhap/54302767#1847356_new
기초수급 70대 독거노인 숨진 채 발견…"자살 추정"
http://www.gomtv.com/view.gom?contentsid=13867226&auto=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정신간호학/우울증/우울증 교육/PPT 16페이지
- 노인우울증의 예방과 치료방안 10페이지
- 노인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 31페이지
- 스트레스와 우울증(여성과 건강) 43페이지
- 노인성 우울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