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1. 임상 특징
1) 주의력 결핍
2) 과잉행동
3) 충동성
2. 주요 특성
1) 원인
2) 발현시기
3) 진단특징
4) 유병률
5) 공존병리
6) 경과 및 예후
7) 치료
II. 적대적 반항장애
1. 임상 특징
2. 주요 특성
1) 원인
2) 발현시기
3) 유병률
4) 공존병리
5) 예후
6) 치료
III. 품행장애
1. 임상 특징
2. 주요 특성
1) 원인
2) 발현시기
3) 유병률
4) 공존병리
5) 경과 및 예후
6) 치료
본문내용
I.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흔히 집중력이 짧고, 심하게 부산스러운 과잉행동을 보이며 충동적인 행동 특성을 보이는 장애이다.
(1) 임상 특징
1) 주의력 결핍
집중력이 짧고 끈기가 없어 쉽게 싫증을 내고 산만해지는 주의력 결핍(inattention)을 보인다. 한 가지 일을 꾸준하게 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주의 깊게 듣지 못하고, 혼자 공상에 빠지거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챙기지 못한다.
2) 과잉행동
심하게 움직이고 부산스러운 과잉행동(hyperactivity)을 보인다. 언제나 뛰어다니고, 몸을 뒤틀거나 손가락, 발가락 등을 꼼지락거리는 등 가만히 맞아 있지 못한다.
3) 충동성
참을성이 적고 감정변화가 심한 충동성(impulsivity)을 보인다. 모든 일이 계획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즉흥적으로 행동하거나 말을 하는 경향이 있다. 차례를 지키지 못하며 끼어들기를 해서 다른 사람을 방해한다든지, 쓸데없는 참견하기를 좋아한다. 또한 인내하고 억제하며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한 편이며, 감정 억제를 잘 못해 폭발적으로 정서를 표현한다.
(2) 주요 특성
1) 원인
ADHD는 많은 연구에서 30-40%가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는 것으로 미루어 유전력이 높으며, 임신시 산모가 술, 담배, 납 등에 노출된 경우도 위험성이 크다. 또한 분만시 미세한 뇌손상을 당하거나, 출생 후 고열, 감염, 대사작용 등에 뇌손상을 입었을 때 ADHD에 노출되며,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등의 이상도 원인으로 작용한다.
2) 발현시기
7세 이전에 ADHD 증상들이 발현되어야 한다.
3) 진단특징
아동이 주활동 장소 중 두 곳, 즉 가정과 학교에서 ADHD 증상으로 인하여 부적응문제를 일으킨다.
4) 유병률
연구자에 따라, 문화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나 평균적으로 1 -5%이다. 성별로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4-9배 이상 많이 나타난다.
참고자료
·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