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과 교과서에 기술된 용어와 개념에 대한 정의 측면에서의 분석
2. 내용 측면에서의 국어과 교과서 분석
3. 구성측면에서의 국어과 교과서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서론
교과서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갖는 영향력과 비중은 절대적이다. 교과서는 학생들의 지식 탐구의 주된 대상이며, 언어 학습의 기준점을 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향력을 생각했을 때, 교과서를 제작함에 있어서, 큰 목표에서부터 작은 부분까지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지난 7차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는 국어과 교과서를 국정교과서 단일체제를 운영했다. 하지만 2007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면서 국어과 교과서도 국정교과서에서 검인정 교과서체제로 전환을 하면서, 다양한 교과서가 제작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개별 학교의 교과서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국어과 교육의 다양성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총 10년을 국민 공통 기본교육 기간으로 설정했다. 국어과는 이 기간을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여 내용 체계를 설정했는데, 하위 영역을 여섯 범주로 구분했다. 여섯 영역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으로 각 영역별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제시했다. 내용 체계는 실제를 상위에 제시하고 지식과 기능 그리고 맥락을 내용의 주요한 범주로 설정하고 있고, 성취기준은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도달시킬 지도 내용을 명시했다. 국민공통 기본교육을 이수한 고등학교 2학년부터 3학년까지 해당하는 11, 12학년 학생들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된다. 국어과는 선택과목으로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 매체언어를 편성하였는데, 선택과목은 내용체계를 지식과 기능, 담화유형으로 구성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2009년에 부분 개정되어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발표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국민공통 기본교육 기간을 중학교 3학년까지로 1년을 앞당기면서, 총 10년이었던 이 기간을 9년으로 단축시켰다. 따라서 고등학교 전 학년이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조정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했는데, 특히 고등학교 교육과정 국어과에서는 여섯 과목으로 세분화된 선택 과목을 통합해서 재구조화하였다.
참고 자료
노미숙 외 10인,『중학교 생활국어 3-1』, 천재교육, 2012
박덕유,『문법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5
박덕유,『학교 문법론의 이해』, 역락, 2006.
박영순,『한국어 담화, 텍스트론』, 한국문화사, 2004
박영순,『국어문법 교육론』, 박이정, 2005
박보현,「문법 교과서의 예문 제시 방식에 대한 연구」,『한국어문교육 Vol.9』, 2011
오영신,「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 내용 분석」,『새국어교육 Vol.88』, 2011
이관규,『학교 문법 교육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