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일반물리학 및 실험, RLC회로 예비레포트 질문 답 다 있음 A+
- 최초 등록일
- 2017.07.16
- 최종 저작일
- 2017.07
- 19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이론
2. 실험 결과
3. 실험 결과 분석
4. 토의 및 건의사항
본문내용
유도시상수 τ는 DC 전압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가?
샘플링 속도가 최대 20,000Hz 인 경우와 10,000Hz 일 경우의 초기 역기전력 값이 다른데 시상수는 똑같은 값이 나온다. 왜 그럴까?
인덕턴스 작용 곡선에서 DC 전압을 ON 하는 경우, [표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t=0 일 때 전압은 V0= 5V 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또, DC전압을 OFF 하는 경우는?
이상적인 인덕터의 경우 즉, 인덕터의 내부저항이 "0" 에 가까워 질수록 [그림8]의 그래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인덕터에 철심(iron core)을 넣는 경우와 그렇지않은 경우 인덕턴스 L 값은 어떤 차이가 있겠는가?
2-a) 저항만의 회로
두 파형의 주기는 같은가? 위상에는 변화가 있는가?
2-b) 콘덴서만의 회로
전압에 대해 전류의 위상변화는 얼마만큼의 차이를 보이는가? 전류의 진폭은?
2-c)인덕터만의 회로
전원전압에 대해 전류의 위상변화는 얼마만큼의 차이를 보이는가? 전류의 진폭은? 교류주파수가 증가할수록 파형의 변화는 어떠한가? 교류전압에 대한 전류 진폭을 측정함으로써 C 값이나 L 값을 측정할 수 있는가?
3) RLC 교류공명회로
특정한 주파수에서 저항 양단의 전압이 커지는 물리적 이유는 무엇인가? 설명해보라. 회로전류에 대한 공명곡선은 전압에 대한 공명곡선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인덕터의 내부저항 요소는 어떻게 고려해야 할까? 또, 내부저항이 0 에 가까울수록 어떤 변화가 있는가?
RLC 회로의 전압-주파수(또는 회로전류-주파수)공명 곡선에서 좌우대칭이 되지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략>
전압이 걸리는 순간과 전압이 꺼지는 순간에 연기전력이 인덕터 내부에 작용하여 전압이 튀는 것 말고는 전압이 바뀌지않는 동안에는 전체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키르히호프의 폐회로 법칙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다른 이유는 도선내부에도 저항이 0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 전압의 크기는 우리가 처음에 걸어주는 5.00V보다 작다.
참고 자료
http://phylab.yonsei.ac.kr/board.php?board=experiment&sort=subject&indexorder=2&command=body&no=23&command=body&no=23&body_only=y&button_view=n (2017.07.11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