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제로 A+받은 성인간호학 뇌경색 case study< 간호과정 >
1) 우측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2) 신경계의 변화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3)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고찰-뇌경색, 심방세동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예방
3. 자료수집
4. 간호과정
1) 우측 편마비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2) 신경계의 변화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3)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은 뇌졸중의 한 종류로써 암 다음으로 많은 사망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단일 질환으로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밝혀져 있다. 뇌경색에 의해 사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반신 마비, 언어 장애 등의 후유증을 갖게 된다. 심장질환은 뇌경색의 주요 원인으로 서양에서는 전체 뇌졸중의 15-20%가 심장질환이 원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10% 이내로 원인이 된다. 심장질환이 있으면 심장에 혈전이 생기기 쉬우며 이 혈전이 떨어져 나와 혈관 속을 흘러 다니다가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생기게 된다.
심장질환 중에서도 심방 세동, 류마티스성 심장 판막질환, 급성 심근경색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심방세동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정상인보다 5배 높다고 보는데 여기에 류머티스성 판막질환도 함께 앓고 있다면 그 위험도는 18배나 된다. 또한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가 나이가 많거나, 혈압이 높거나, 한 번 뇌졸중을 앓은 적이 있다면 앞으로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무척 높아집니다.
하지만 그 간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나 그 위험성을 잘 모르고 지내다가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뇌졸중이 발병해도 이에 대한 과학적인 치료를 외면하고, 그릇된 치료법 등에 의존하여 심한 후유증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받지 않거나 재발의 예방을 게을리 하여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대상자 및 가족에게 자가 간호 및 재활을 수행하도록 격려하는 등의 간호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보다 긍정적이며 안락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생 원인이나 치료과정에 따른 적합한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뇌경색
⓵ 정의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란 허혈성 뇌졸중의 종류중 하나로써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뇌조직이 괴사되어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질병정보, 뇌졸중,http://cdc.go.kr/CDC/mobile/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2416&fid=7949&cid=69113&pageNum=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허혈성 뇌졸중, 네이버 건강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08&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이야기,
https://www.stroke.or.kr/stroke/viewC.php?code=talk&number=2
서울아산병원, 뇌졸중센터, 뇌졸중정보,
http://stroke.amc.seoul.kr/asan/depts/stroke/K/content.do?menuId=2186
강남 세브란스 병원, 신경외과, 뇌경색, 2007-01-12 등록,
http://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neurosurgery/disease/view.asp?con_no=21157
병원간호사회, 심혈관질환, 부정맥, 전극도자 절제술 사진자료,
https://www.google.co.kr/search?q=%EB%A9%94%EC%9D%B4%EC%A6%88%EC%88%A0%EC%8B%9D+%EC%88%98%EC%88%A0&espv=2&biw=1366&bih=662&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C6cPh-ofQAhVBs5QKHXWjBwkQ_AUIBigB#tbm=isch&q=%EC%A0%84%EA%B7%B9%EB%8F%84%EC%9E%90+%EC%A0%88%EC%A0%9C%EC%88%A0&imgrc=6tCug5UfrXB9PM%3A
연세의대 심장내과, “심방세동”, 『심장과 혈관』, 제 6권 17호, p. 6-33
서울아산병원, 심방세동,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52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6판, 현문사, 2014, p. 460-474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 학교실, “한국인의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요인에 대한 비교고찰 – 다기관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제 31권 4호, p. 1-10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의 혈전 용해 치료“, 『대한뇌졸중학회지』, 2005, 제 7권 1호, p. 1-8
부산대학교 의과대한 신경과학교실, “허혈성 뇌졸중의 이차예방을 위한 항혈전제 치료‘,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4, 제 7권 2호, p, 1-10
박은영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2014, p. 43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