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아동기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치료]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기본개념과 원리 및 놀이-미술-음악치료기법)
- 최초 등록일
- 2017.07.07
- 최종 저작일
- 2017.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I. 놀이치료
1.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
2.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인
a. 저항의 극복요인 : 치료동맹
b. 의사전달요인 : 자신의 감정이해
c. 유능감 요인 : 유능감 경험
d. 정화 요인 : 정서적 발산
e. 소산요인 : 정신적 외상에의 적응
f. 상상요인 : 상상적 보상
g. 긍정적 정서요인 : 스트레스의 해독
h. 역할놀이 요인 : 새로운 행동의 연습, 공감
3. 놀이치료의 원리
II.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기본 개념
2. 미술치료의 원리
3. 미술치료의 기법
a. 테두리법
b. 출발그림
c. 난화 상호 이야기 만들기
d. 콜라주기법
e. 역할교환법
f. 색채 선택법
g. 갈겨그리기법
h. 그림 완성법
I. 자아감각 발달법
j. 핑거페인팅
k. 조소활동
III. 음악치료
1. 음악치료의 기본 개념
2. 음악치료의 원리
3. 주요 음악치료기법
a. 감상
b. 즉흥연주
c. 음악연주그룹
d. 적극적인 음악감상과 인식 및 말하기 유도
본문내용
유 ․ 아동기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치료
유 ․ 아동기에는 여러 가지의 발달 장애를 경험하기 쉬운 시기이다. 이러한 장애의 교정과 완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심리치료적, 환경적 영역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심리치료적 접근은 유 ․ 아동의 내적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고 또래관계나 가족관계를 비롯한 사회적 관계에 적응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 ․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에는 유 ․ 아동에 대한 접근과 그들의 부모에 대한 접근이라는 두 가지 경로에의 작업이 필요하며 그런 전제하에 치료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유 ․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에서는 이들의 언어와 사고가 자신을 충분히 표현할 만큼 통합적이거나 풍부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현매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성인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과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유 ․ 아동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에서는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의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I. 놀이치료
1.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
놀이치료에 대해 Schaefer(1986)는 "훈련된 치료자가 심리적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돕기 위해 놀이의 치료적 요인을 체계적으로 적용시키는 대인관계의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놀이치료(Play therapy)의 시작은 Frued(1909)가 Hans라는 어린 소년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마음속에 깊이 쌓인 좌절이나 갈등을 정신치료적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Hans의 치료는 Freud 자신이 치료사로서 전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늘날의 놀이치료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역사상 처음으로 놀이치료이론을 독자적인 가치로서 인정한 사람은 Melanie Klein(1932)이다.
Klein은 놀이를 아동의 자연적인 표현매체라고 보았다. 즉 언어가 발달되지 많은 아동의 경험이나 정서, 복잡한 사고의 표현 등의 수단으로써 매우 중요하다고 여겼다.
참고 자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