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 미생물 배지 만들기, 멸균 처리법, 세포 수 측정, 무균 조작법, 미생물의 순수분리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7.06.28
- 최종 저작일
- 2017.03
- 2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Title
2. Name
3. Date
4. Purpose
5. Principle
6. Method
7. Result
8. Discussion
9. Referernces
본문내용
Principle
●멸균 처리법
미생물 실험은 적당한 배지(Medium)을 준비하여, 목적으로 하는 미생물만은 순수 배양한 동일 집단 (Population)을 가지고 연구한다. 실험실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시약, 물, 공기, 초자류 등에 존재하 고 있으며, 이것들이 배지에 오염되어 자라게 된다면 실험하고자 하는 미생물에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배지는 미생물을 접종하기에 앞서 배양기 내의 모든 미생물들을 사멸시키거나 제거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멸균(Sterilization)이라 한다.
●미생물의 순수분리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세균이나 곰팡이는 고체배지에서 잘 자랄 수 있으므로 이들을 분리하는 데는 평판법이 적당하다. 그러나 아직도 보다 큰 몇 가지 세균들은 고체배지에서 성공적으로 배양하지 못하였으며, 많은 원생동물과 조류는 액체배지에서만 배양이 가능하다.
비록 최근에 이르러서 비루스의 분리를 위한 평판법이 많이 밝혀지고 있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물론 비루스는 절대세포내 기생체이므로 결코 순수배양을 얻을 수 없으며, 특정 비루스와 숙주생물로 구성된 이원배양이 이러한 미생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액체배지에서 가장 간단한 분리법은 희석법이다. 접종원은 멸균한 배지로 연속적으로 희석되며, 배지를 함유한 많은 수의 시험관에는 동량의 연속된 희석액을 접종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일련의 시험관에 미생물 현탁액을 희석하여 접종함으로써 하나의 세포라도 그것이 시험관에 들어갈 확률을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희석법은 단점이 있다. 혼합된 미생물 개체군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균주를 분리하는 데에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체배지에서 자랄 수 없는 큰 미생물들을 분리하는 데에는 이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자연계에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미생물들은 세균보다 수적으로 미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희석법의 이용은 한정되어 있다.
참고 자료
http://www.amc.seoul.kr/%7Ediag-imm/etcstudent/anaerobic.htm
http://nengjung.kit.ac.kr/~ckisu/fsl/fsl02/fs02.htm
http://land.knu.ac.kr/%7Eapp-mic/resources/lecture/microbiology/10
http://100.naver.com/100.php?id=97874
Mark. L Wheeis, 최신미생물학, 아카데미, 1993,
http://www.komed.com/business/page.htm?bclass=C02&mCgYN=Y&mclass=C0201&tclass=C&sid=4&pagetype=B
http://blog.naver.com/rustler2/120011078814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5&docid=1477714
http://blog.naver.com/sky100283/60007234724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5&docid=710466&ts=1080795545
Prescott(2004)미생물학 5판, p.98~102, 라이프사이언스, 서울
김창한 외(2001)일반미생물학실험(개정판) p.41~44, 유한문화사, 서울
한국미생물학회(1998)미생물학실험서, p.63~80, 을유문화사, 서울
미생물학실험교재편찬위원회(2000)미생물학실험, p.27~35, 월드사이언스, 서울
미생물학 기초 실험서
최신 실험 미생물학 63~67p (신일상사2001)
http://www.brunel.ac.uk/departments/bio/project/micro/1basmic/growth/serial.htm
네이버지식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