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 물품관리, 약품관리
- 최초 등록일
- 2017.06.18
- 최종 저작일
- 2017.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물품관리
1) 물품관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물품의 종류
(1) 비품
(2) 소모품
3) 물품관리의 과정
(1) 기준량 설정
(2) 물품의 청구와 교환
(3) 물품의 보관과 사용구와 교환
(4) 재고목록과 정기점검
4) 물품관리방법
2. 약품관리
1) 병원처방체계
2) 투약관리지침
3) 약품의 수령 및 반납절차
4) 약품관리 방법
5) 마약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품관리에서 의의 및 필요성과 종류, 과정, 방법 순으로 그리고 약품관리 병원처방체계, 투약관리지침, 수령 및 반납절차, 방법, 마약관리 순으로 알아보겠다.
1. 물품관리
1) 물품관리의 의의 및 필요성
• 물품 : 병원 경영의 4대 요소(인력, 물품, 자금, 정보) 중의 하나
• 물품관리
‣ 조직의 목적달성을 위한 사업수행에 있어 소요되는 물품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제반관리 의미
‣ 환자의 치료를 돕고 병동의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한 필수적인 원칙인 동시에 합리적인 관리수단, 경제적인 관리기술
‣ 물품관리가 잘 이루어지면 병원 운영비 절약으로 인한 효율적인 병원 경영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도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
‣ 간호단위가 원활히 운영되기 위해서 물품은 대단히 중요한 요소
⇒ 환자 간호 시 물품이 부족하거나 관리 잘못이나 기구고장으로 사용해야 할 때 사용하지 못하여 환자간호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
☺ 물품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게 되면 ?
① 충분한 물품을 항상 좋은 상태로 확보
② 물품낭비와 오용을 줄일 수 있음
③ 물품이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배치
④ 병동직원들에게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물품사용의 지도가 가능
⑤ 시간낭비와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음
2) 물품의 종류
• 물품
- 병원내에서 소비 또는 사용되고 있는 모든 유형의 자산
- 구분
‣ 재고자산(약품, 진료재료, 의료소모비품, 급식재료등)
‣ 고정자산(집기비품, 기계설비, 의료기기등)
‣ 기타 의료 및 일반관리 소모성 자산(사무용품, 유류, 기타소모품등)
(1) 비품
•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을 의미
• 구분
- 크게 구분
‣ 일반비품 : 냉장고, 텔레비전, 전화기, 옷장, 탁자등
‣ 의료비품
- 이동여부에 따라 구분 : 적어도 3년이상 여러번 사용이 가능한 품목
‣ 고정성 비품 (Wall oxygen, Wall suction, 씽크대 등)
참고 자료
간호관리학 / 염영희외 / 2005년/ 수문사
최신간호관리학 / 김인숙 외 / 2001년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