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유형화 과정(성유형화과정을 통해 습득하는 성역할개념)
- 최초 등록일
- 2017.06.12
- 최종 저작일
- 2017.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성 정체감 발달
II. 성역할 고정관념 형성
III. 심리적 양성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 유형화 과정
각 사회마다 각각의 성에 보다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행동, 태도, 의무와 같은 성역할 기준이 있다. 아동은 이 역할 기준 속에서 성장하며 그것들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시키는 성 유형화(sex typing)과정을 통해 성에 적합한 성 역할 개념을 습득하게 된다.
I. 성 정체감 발달
아동들이 남녀를 구분하고, 자신을 남자 또는 여자로 범주화할 수 있는 성 정체감은 언제부터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하게 될까? 단순히 남녀에 대한 구분은 상당히 일적부터 시작된다. 생후 4개월경의 아기들은 이미 여자와 남자 목소리를 얼굴과 연결시키기 시작하며(Walker-Andrews, Bahrick, Raglioni, & Diaz, 1991), 생후 1년이 되었을 때는 사진을 보고 남녀를 비교적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Leinbach & Fagot, 1996).
아동들은 처음에 몸의 형태나 다른 특성보다 옷차림새나 머리 모양을 단서로 남녀를 구별한다. 2세경에는 짧은 머리나 바지를 입고 있는 사진 속의 여성을 봐도 성을 정확히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의 아동들은 자신의 성 정체감에 대해서는 불확실했다(Thompson, 1975).
참고 자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