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인지이론
1. 피아제
1) 자기중심적 언어
2) 사회화된 언어
2. 비고츠키
3. 브루너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동들은 어느 문화권에서 살던지 간에 자기의 모국어를 습득하는 단계는 거의 비슷하다. 인간은 누구나 옹알이를 하다가 음성적 상징과 의미를 연결 지음으로써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 보통의 경우 신체발달과 더불어 언어발달은 일정한 순서에 의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모든 아동들은 자연스럽게 언어를 획득한다. 그러나 아동의 언어습득에 관해서는 이론가에 따라 다르다. 어떤 학자들은 언어발달이 타고난 능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으며, 어떤 학자들은 환경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다. 여기에서는 언어습득을 설명하는 행동주의 이론, 선천적 이론 및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 행동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behaviorist theory)은 모든 발달이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나, 학습할 수 있는 기제(mechanism)는 타고난다고 믿는다. 즉, 이 기제로 하여금 아동이 자극과 반응을 연결시키고 언어적인 소리를 발성한다고 본다.
이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는 스키너(Skinner)로서 아동의 언어습득을 조작적 조건화와 강화로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는 아동이 생후 초기에 우연히 어떤 소리를 냈을 때 부모가 이에 관심을 가지고 반응하거나 칭찬을 해주어서 강화시키면 그 언어는 습득되고 강화를 받지 못하면 습득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언어학습을 반향반응(echoic response)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맨드(mand)와 택트(tact)의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맨드는 아동이 어떤 요구상황에서 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에 들었던 발음을 되는대로 발음했을 때 부모가 그 요구를 충족시켜준다면 아동은 그 발음을 강화 받게 된다고 보는 것으로써 이러한 강화로 인해 그 발음과 단어의 의미를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택트는 아동이 어떤 사물을 접했을 때 보이는 특정한 언어반응 즉, 명칭에 대해 보상을 받음으로써 언어를 습득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자료
·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