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한의학은 수천 년 전에 기원한 동아시아 전통의학이다. 고대 동아시아인들은 사람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지고 그에 기반하여 의학을 정립했다. 그렇다면 당대 동아시아의 어떠한 사상들을 바탕으로 한의학의 기본을 이루었는가. 대표적으로 음양오행학설이 있다.
춘추전국시대의 다양한 사상들이 출현하는 시기에 음양학설과 오행학설도 그 사상적 기원을 둘 수 있으며, 오랫동안 중국의 여러 문화를 지배하여 왔다.
음양은 볕과 그늘에서 그 의미의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오행은「尙書」「洪範」에서 ‘一, 五行 : 一曰水, 二曰火, 三曰木, 四曰金, 五曰土,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라 하였으며 「月令」에서는 四季節과 方位에까지 배속하였다. 鄒衍의 「五德終始論」에 나타난 ‘五行相克說’과 劉向의 ‘五行相生說’은 五行이 사물의 변화와 관계를 설명하는 방식이었다.
참고자료
· 송일병, 한의학에 나타난 음양관-사상의학의 성립배경과 사상의학에 나타난 음양관-, 민속학 연구 4호, 1997.
· 이충열, 한의학의 음양론적 인체관과 음양개념의 은유적 이해, Journal of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4.
· 정우진, 한의학과 오행론, 동양철학연구 제74호, 2013.
· 김용옥, 음양오행을 과학이랄 수 있는가?, 계간 과학사상, 1993.
· 노의준, “복치의학은 ‘음양오행 없는 한의학’ 모색하는 학문적 시도”, 민족의학신문, 2011.
· 강순수, 바른 방제학, 대성문화사, 1996.
· 홍원식, 중국의학사, 1984. p.216.
· 양계초, 풍우란 외 지음, 김홍경 편역, 음양오행설의 역사, 음양오행설의 연구. 신지서원, p.29, 1993.
· 정창현, 내외 음양의 관점에서 본 한의학의 역사, 200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