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UD)는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용자들을 처음부터 고려해서 설계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Mace(1985)는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모두 매력적이고 기능적인 건물이나 시설을 별도의 비용이 거의 없이 설계하는 방법’으로 정의했다.
- 보편적 설계를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보편적 설계의 가장 큰 특징이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에 맞춰 교육과정을 융통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환경을 보편적 설계의 예로 제시하고 있다.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관한 연구는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ofr applied special technology; CAST)에서 장애를 포함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과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 학습에 보편적 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개념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 CAST는 이러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새로운 뇌 연구와 매체 공학에 근거하여 다양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 학습, 평가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필수적 원리로서 복합적인 내용제시, 표현, 참여 방법(mutiple emthods of presentation, expression, and engagement)의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 2008년 CAST에서는 여러 연구자 및 교사들과 협력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를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돕는 가이드라인(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3개 원리(principles), 9개 지침(guidelines), 32개 세부 선택(options)으로 된 UDL 가이드라인이며, 최근 2011년에는 학습자의 다양성 등을 반영하영 일부 수정한 UDL 가이드라인 2.0(3개의 원리, 9개의 지침, 31개 체크포인트로 구성됨)을 발표하였다.
· 최정임, 신남수 (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29-59.
· Bowe, F. G. (2000).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 Teaching nontraditional students. Westport, Connecticut: Bergin & Garvey.
· CAST. (2000)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trieved August 14, 2002, from http://www.cast.org/udl/
· CAST. (2008).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 Wakefield, MA: Author.
· CAST. (2011).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0. Wakefield, MA: Author.
· CEC (2005).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Pearson Education, Inc.
· 곽승철 (2010). 보편적 교수·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중복·지체부자유 연구, 53(4), 1-29.
· 김은선, 김종현 (2011). 통합교육환경에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적용 방안. 아동연구 20, 33-50.
· 박순희 (2007).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로서의 교수 적합화 적용. 시각장애연구, 23(2), 79-95.
· 박주연 (2008).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43(3), 155-176.
· 박주연 (2009). 통합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 탐색. 지적장애 연구, 11(1), 237-253.
· 박주연, 이병인 (2008).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4(4), 257-283.
· 박혜준 (2010).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통합교육연구, 5(2), 103-128.
· 서정희, 성정희, 구양미 (2011). 보편적 학습 설계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4학년 과학 디지털 교과서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442-458.
· 손지영 (2011).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0(4), 36-63.
· 손지영, 김동일 (2010).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연구의 적용 전략 및 효과성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385-411.
· 윤광보, 김용욱, 권혁철 (2002).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의 실행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37(3), 263-282.
· 이정은 (2011). 중등장애학생의 교수통합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UDL) 지침을 적용한 교과별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칙 개발 연구. 학습장애연구, 8(2), 1-29.
· 이정은, 염명숙 (2011).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준 비교. 특수교육, 10(1), 283-304.
· 임은숙, 백은희 (2011).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 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 13(4), 211-227.
· 차현진, 안미리 (2011). 보편적 학습 설계(UDL) 기반 차별화 교수 지원 도구인 PAL 툴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설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7(1), 91-108.
· 최정임, 신남수 (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29-59.
· 추연구 (2006).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가능성 고찰. 정신지체연구, 8(3), 11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