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보편적 학습 설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유익에듀TV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없음본문내용
-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UD)는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용자들을 처음부터 고려해서 설계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Mace(1985)는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모두 매력적이고 기능적인 건물이나 시설을 별도의 비용이 거의 없이 설계하는 방법’으로 정의했다.- 보편적 설계를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보편적 설계의 가장 큰 특징이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에 맞춰 교육과정을 융통성 있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환경을 보편적 설계의 예로 제시하고 있다.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관한 연구는 미국의 응용특수공학센터(Center ofr applied special technology; CAST)에서 장애를 포함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과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 학습에 보편적 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개념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 CAST는 이러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새로운 뇌 연구와 매체 공학에 근거하여 다양한 학습자들을 위한 교수, 학습, 평가의 새로운 접근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 보편적 학습 설계의 필수적 원리로서 복합적인 내용제시, 표현, 참여 방법(mutiple emthods of presentation, expression, and engagement)의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 2008년 CAST에서는 여러 연구자 및 교사들과 협력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를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돕는 가이드라인(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3개 원리(principles), 9개 지침(guidelines), 32개 세부 선택(options)으로 된 UDL 가이드라인이며, 최근 2011년에는 학습자의 다양성 등을 반영하영 일부 수정한 UDL 가이드라인 2.0(3개의 원리, 9개의 지침, 31개 체크포인트로 구성됨)을 발표하였다.
참고 자료
최정임, 신남수 (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29-59.Bowe, F. G. (2000).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 Teaching nontraditional students. Westport, Connecticut: Bergin & Garvey.
CAST. (2000)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trieved August 14, 2002, from http://www.cast.org/udl/
CAST. (2008).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 Wakefield, MA: Author.
CAST. (2011).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0. Wakefield, MA: Author.
CEC (2005).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Pearson Education, Inc.
곽승철 (2010). 보편적 교수·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중복·지체부자유 연구, 53(4), 1-29.
김은선, 김종현 (2011). 통합교육환경에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적용 방안. 아동연구 20, 33-50.
박순희 (2007).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로서의 교수 적합화 적용. 시각장애연구, 23(2), 79-95.
박주연 (2008).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43(3), 155-176.
박주연 (2009). 통합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 탐색. 지적장애 연구, 11(1), 237-253.
박주연, 이병인 (2008).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과제수행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4(4), 257-283.
박혜준 (2010).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통합교육연구, 5(2), 103-128.
서정희, 성정희, 구양미 (2011). 보편적 학습 설계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4학년 과학 디지털 교과서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442-458.
손지영 (2011).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0(4), 36-63.
손지영, 김동일 (2010).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연구의 적용 전략 및 효과성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1), 385-411.
윤광보, 김용욱, 권혁철 (2002). 장애학생의 학습을 위한 보편적 설계의 실행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37(3), 263-282.
이정은 (2011). 중등장애학생의 교수통합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UDL) 지침을 적용한 교과별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칙 개발 연구. 학습장애연구, 8(2), 1-29.
이정은, 염명숙 (2011). 통합학교 중등 일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준 비교. 특수교육, 10(1), 283-304.
임은숙, 백은희 (2011).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 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 13(4), 211-227.
차현진, 안미리 (2011). 보편적 학습 설계(UDL) 기반 차별화 교수 지원 도구인 PAL 툴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설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7(1), 91-108.
최정임, 신남수 (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29-59.
추연구 (2006).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가능성 고찰. 정신지체연구, 8(3), 11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