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심맥관계 해부생리
1)심장의 구조
(1)심장의 구조
(2)심장의 혈액공급
2)심장의 기능
(1)일박출량의 조절
(2)심박동수의 조절
3)혈관의 구성과 구조
(1)혈관의 구성과 구조
(2)혈관의 기능
2. 고혈압
1)고혈압 정의
2)고혈압 원인
(1)본태성 고혈압
(2)이차성 고혈압
3)고혈압 진단
4)고혈압 치료
(1)생활 요법 치료
(2)약물 치료
5)고혈압 합병증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고혈압은 우리나라 30세 이상의 성인 인구에서 약 30%의 유병률을 보이고 60세 이상에서는 50% 이상으로 증가하며 그 발생빈도는 지속적으로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
또한 우리나라 성인의 사망원인 중 우선순위로 지적되는 뇌혈관 질환 및 심혈관 질환과의 고혈압이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 이르는 관리는 개인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Ⅱ 본론
1. 심맥관계 해부생리
1)심장의 구조
(1) 심장의 구조
심장은 원추형 근육기관으로 그 첨부가 좌측 흉부의 제 5늑간강에 위치한다.
심저부는 우상방으로 향하고 있어 정중선으로부터 좌측 15°정도 흉곽 내에 비스듬히 위치하고 있다.
심장의 크기는 정상 성인에서 길이 12.5cm, 폭 9cm, 전후경 6cm이며, 무게는 성인 남자 300gm, 성인 여자 250gm 정도이다.
심장벽은 심내막, 심근층, 심외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내막은 내피세포층에서 섬유결체조직에 의해 강화되어 있고 직접 혈액과 접촉하고 있으며 심내막이 연장되어 판막을 형성한다.
심근은 심실벽 두께의 75%를 차지하며, 심근의 율동적인 수축은 순환을 유지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심근은 구조상으로 황문근이나 기능상으로는 불수의근이어서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으며, 자동능을 지니고 있어 중추로부터의 신경을 차단하여도 자동적으로 수축할 수 있다.
심낭은 얇은 결체조직이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을 장측심낭, 외측을 벽측심낭으로 구분다.
장측심낭은 심외막이라고도 하며 혈관이 치밀하게 분포되어 있고, 벽측심낭은 섬유성 장막으로 심장을 싸고 있다. 심낭강은 장측심낭와 벽측심낭 사이의 공간으로서 25~35ml의 심낭액이 고여 있다. 심낭액은 심장의 수축과 촥장에 의한 마찰을 방지한다.
좌심실은 우심실보다 뒤쪽·왼쪽에 위치하며 좌심실의 두께는 8~14mm, 우심실의 두께는 3~4mm로 좌심실이 우심실에 비해 3배더 두껍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