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MI) - 통증, 심박출량 감소, 신체손상의 위험성
- 최초 등록일
- 2017.05.19
- 최종 저작일
- 2017.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기본적인 자료에 충실히하여 케이스 스터디하였습니다.
성인간호학 실습 A 자료입니다 !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목차
1. 개인건강 사정
2.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3. 처치현황 / 예상되는 치료
4. 약물치료
5.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6. V/S, BST I/O
7. 간호진단
8. 간호과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근경색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심근경색 원인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 부르는 3가닥의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일생 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 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이 같은 상황을 잘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1) 고령
2) 흡연
3) 고혈압 : 혈압 ≥ 140/90mmHg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4) 당뇨병
5) 가족력 :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참고 자료
나이팅게일 핸드북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포널스출판사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외 2인 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03.08.
조경숙, 김희경 외 7명 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