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샬라과제] 두바이가 국제 교역의 중심 도시로서 부각되는 이유,아랍인을 만났을 때 지켜야할 예절
- 최초 등록일
- 2017.04.23
- 최종 저작일
- 2017.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최근 두바이가 국제 교역의 중심 도시로서 부각되는 이유들에 대해 기술하시오.
[2] 방학 중 일주일 정도 일정으로 이집트로 유적 답사 여행을 떠난다는 가정 하에 여행 계획과 지역 정보를 수집, 정리하시오
[3] 아랍인을 만났을 때 지켜야 할 예절에 대해 논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 중 유일한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하여 중계무역지가 된 도시이다. 19세기엔 영국과 협정을 맺어 보호 속에 있어 당시는 진주조개 잡이와 어업 따위가 주된 사업이었으나 이후 금(金)세공과 유통산업이 주된 사업으로 부상하게 되어 금시장은 지금까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두바이는 1958년 셰이크 라시드 국왕이 추진한 중동의 유통기지와 중심도시로 부상하기 위해 1958년 두바이 중동 최대 규모의 항구(라시드 항구)를 건설하였으며 1964년에는 석유가 발견되어 두바이의 발전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이후 5년 뒤 석유를 수출하기 시작했고 2년 뒤 650만 톤의 원유를 수출하여 새로운 산유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석유 수출로 인한 수입이 GDP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두바이는 아부다비를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른 산유국에 비하여 아주 적은 매장량(아부다비 920억 배럴, 두바이 4억 배럴)을 가지고 있어 2020년쯤이면 바닥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를 걱정한 셰이크 라시드는 석유수입을 학교, 병원, 도로 등 각종 기반 건설에 투입하고 셰이크 모하메드가 두바이 경제개발계획을 구상하여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실시하였다.
한국에 있어서 ‘두바이 봄’은 석유와 금융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고유가는 자연히 자본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물론 아랍에미리트가 산유국으로서 막강한 오일달러를 소유하고 있지만, 두바이가 국제 교역의 중심도시로 부각되는 데에는 지정학적 유리함이라는 요인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지정학적 유리함은 두바이의 몰락을 지켜보지 않고 주변 국가들이 도와준 배경이 되었는데 두바이의 몰락을 지켜볼 수 없었던 아부다비가 3차례에 걸쳐 총 250억 달러를 지원하며 급한 불을 꺼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의 두 번째 도시로 경제규모로 친다면 아부다비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유전이 몰려있는 아부다비는 아랍에미리트 전체 재정의 85% 정도를 지원하고 있지만 무역항이나 기반 구축 면에서 두바이를 능가하지 못하며 인지도나 브랜드에서도 두바이에 뒤쳐진다.
참고 자료
중동의 블루오션: 세계 최고의 허브를 꿈꾸는 두바이
두바이의 성장과 배경
세계 무역과 금융의 허브로 재도약하는 두바이, 홍성민(중동경제연구소장)
아랍인의 에티켓과 금기, 임병필(지중해지역원 HK연구교수)
이슬람위 규범과 예절, 윤용수
이지 지중해, 이연수, 조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