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물사의 중요성
Ⅱ. 원세개의 일생
1. 군사 전문가
2. 권력 지향적 현실주의자
3. 평가
Ⅲ. 나가며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인물사의 중요성
인간은 역사에 대해서 의미와 법칙을 부여하고, 거시적인 역사를 특정 법칙 안에서 생각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거시적인 법칙은 역사의 주체인 인물들을 평가할 때 문제가 되기도 하는데, 특정 법칙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유무에 따라 발전·후퇴 혹은 선·악이라는 2분법적 가치로 인물의 평가를 단정지어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다수에게 설득력 있는 평가가 내려질 수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이분법적이고 단정적인 평가는 역사적 복잡성과 해석의 다양성을 무시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평가가 오히려 인물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기까지 한다.
역사적 인물 역시 인간이기에 복잡한 사고와 고뇌를 거치는 과정에서 그 인물의 인격과 행적이 나타나고, 이러한 과정을 인식한다면 인물을 단정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인물의 행적에 대한 결과만을 놓고, 현재의 가치 기준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역사적 해석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역사적 객관성을 해칠 수 있는, 지나치게 근시안적이며 편협한 사고이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독재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 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군사적인 능력을 통해 불법적으로 정권을 장악하고, 근대화와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독재자들을 평가하는데 있어 때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현재 가지고 있는 정치적, 사상적 성향에 의해 자신이 보고 싶은 측면만을 보고 단정적 평가를 내려버린다. 이러한 평가는 인간의 복잡성과 객관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려졌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인물에 대한 평가는 인물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 중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던 원세개(袁世凱)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복잡성을 지닌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참고 자료
『문명제국에서 국민국가로』, 강진아, 창비, 2009
『신중국사』, Fairbank, John King, 까치글방, 2005
『원세개』, 허우 이제(侯宜杰), 지호, 2003
「인물바로보기 – 위안 스카이, ‘조선의 왕’으로 비유된 감국대신」, 이양자, 내일을 여는 역사, 2004
「중국 근대화 과정의 주요 논쟁에 관한 연구」, 나태종, 한국중국문화학회, 2011
「幕友 張謇과 袁世剴」, 유춘근,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1989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구범진,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문화연구소, 2005
「淸末 地方自治의 實施背景과 財政 : 上海와 天津事例의 比較」, 이호현,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