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동향
- 최초 등록일
- 2017.03.29
- 최종 저작일
- 2017.03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화학산업 동향
1-1. 화학산업의 범위 및 분류
1) 산업범위
2) 직업․직종범위
1-2. 화학산업 현황 및 문제점
1) 화학산업의 일반현황 및 수출입현황
2) 화학산업 인력수급 현황 및 문제점
3) 세부산업별 현황
1-3. 화학산업 인력수급 전망
1) 석유화학산업
2) 의약품제조업의 인력구조 및 채용시장 규모 전망
3) 플라스틱제품제조업의 2016년도 채용시장규모 전망
1-4. 화학산업 업종별․직종별 고용보험DB 분석
1) 구인․구직 통계자료 분석
2) 사업장 및 피보험자 현황 분석
3) 고용보험 DB에 나타난 화학산업 노동시장 현황
4) 기능성 화학소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본문내용
1. 화학산업 동향
1-1. 화학산업의 범위 및 분류
1) 산업범위
◌ 화학 ISC와 관련된 산업분야는 정유산업을 포함한 석유화학산업, 정밀화학산업, 플라스틱산업, 바이오산업으로 구성됨
- 일반적으로 화학산업은 정유, 석유화학, 정밀화학,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한국표준산업분류와 대응시켜보면 C19에는 정유산업이 포함되어 있고, C20에는 석유화학산업과 정밀화학산업 일부, C21에는 정밀화학 산업의 한 부문인 의약품산업, C22에는 플라스틱산업이 포함됨
- 또 바이오산업의 경우는 현행 한국표준산업분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공식적인 통계가 집계되지 않음
2) 직업․직종범위
◌ 화학 ISC와 관련된 직업 내지는 직종은 ‘화학공학 기술자․연구원 및 시험원’, 석유 및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원,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생산기 조작원, 화학․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생산기 조작원 이 포함됨
- 그러나 직업 및 직종 분류체계가 한국고용직업분류와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두 가지가 있는데 세분류(4자리)부터 다소 명칭과 내용의 차이가 있음
- 한국고용직업분류는 직능유형 중심의 분류로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현실을 반영하며 NCS분류체계와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음
-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직능수준 중심의 분류로서 국제표준직업분류 기준을 따르며, 대체로 세세분류(5자리)가 더 세분화되어 있는 특징이 있음
1-2. 화학산업 현황 및 문제점
1) 화학산업의 일반현황 및 수출입현황
(1) 화학산업의 일반현황
◌ 2014년도 화학산업의 종사자 수는 384,883명, 사업체 수는 9,228개임
- 종사자 수 : 2013년도 대비 13,978명(약 3.8%) 증가
※ 워크넷 고용보험 DB에 의하면 2015년도 화학산업 전체 피보험자는 508,760명에 달하고 있음
- 사업체 수 : 2013년도 대비 367개(약 4.1%) 증가
◌ 화학산업의 주요 부문별 종사자 수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특히, 화학물질․제품 제조업(5,682명), 플라스틱제품 제조업(5,458명)이 크게 증가하였고, 의약품 제조업은 그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8.5%) 나타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