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1 정의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AAT)는 심리치료의한 분야로서 살아있고 감정이 있고 따뜻한 체온이 있는 동물과의 상호작용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부족한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1962년 미국의 소아정신과 의사인 레빈슨(B. Levinson)이 자신의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실에서 기다리던 아동들이 자신의 애견 “징글”과 놀면서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고도 이미 치료가 되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동물매개치료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게 되었다.
이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와 목적에 맞게 훈련된 치료도우미동물, 그리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매개치료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활동을 통하여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교육적, 신체적 발달과 적응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육체적인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전문적인 분야이다. 즉, 사람과 동물의 유대(Human animal bond)를 통하여 내담자의 질병을 개선하거나 보완하는 대체요법이다.
1.2 구성요소
동물매개치료의 구성요소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인 내담자와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인 동물매개심리상담사 및 훈련과 위생 등의 일정한 자격을 갖춘 매개체인 치료도우미 동물로 구성된다.
<그 림>
동물매개심리상담사란, 동물매개치료를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치료도우미동물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치료와 재활적 치료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치료도우미동물이란, 동물매개치료프로그램 동안에 중재 역할을 하는 동물로서 선발과 훈련, 위생관리 등의 일정한 기준에 맞는 동물로 동물매개치료에 활용되어 치료의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동물이다. 이는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 내담자와 동물매개심리상담사 사이의 icebreaker로서 작용하여 내담자와 상담사 간에 라포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자료
· 한국동물매개치료복지협회
· http://www.kaatwa.org/
· 뉴스기사(http://www.dailyvet.co.kr/news/34600)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28&cid=51004&categoryId=51004
· 반려견과의 놀이 활동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마영남,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33&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서강오,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 동물매개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유지선,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 대한수의사회지 학술4-치매 환자에 대한 동물매개치료의 효과(김옥진 http://scholar.ndsl.kr/schDetail.do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17&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