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원 케이스 스터디, 미분화형 정신분열병
- 최초 등록일
- 2017.01.25
- 최종 저작일
- 2015.03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조현병은 대중적으로 많이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 인구의 약 1%를 차지하는 상당히 흔한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약 4만명의 환자들이 있다고 추산된다. 이 질환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면서부터 존재하여 왔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분열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간호대상자와 치료적 관례를 형성하며, 간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정신, 정서적으로 결함이 있는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간호 대상자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도록 돕기 위하기 때문이다.
II. 본론
◉문헌고찰
1.정의
-환각과 망상 같은 특징적인 정신분열병의 증상은 있으나 여러 전형적인 증상 유형이 복합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임상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를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type)이라 한다. 즉 긴장형, 편집형, 혼란형 등의 어느 한 아형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2.원인
정신분열증의 원인에 관한 학설은 매우 많지만 뚜렷한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아직 없다. 그 이유는 이 병의 개념이 확실히 규정되어 있지 않고, 여러 가능한 원인들의 개별적 영향력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으며, 병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원인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지배적인 견해는 정신분열증은 여러 원인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증후군 내지 복합질병이라는 것이다. 대체로 어떤 개인이 특별한 취약성 vulnerability(diathesis)을 가지고 있어, 어떤 환경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정신병이 발병하게 된다고 본다. 이를 stress-diathesis model이라 한다.이때 취약성이란 생물학적(에:감염, 신경발달미숙, 약물남용, 외상)일 수도 있고 환경적(가족내 스트레스, 사회경험 등)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신분열증의 원인에 대해, 유전적, 생물학적 및 사회 심리학적 연구 모두 필요한 것이다. 최근 뇌영상화기술의 발달.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의 개발과 음성증상의 개념의 발달, 그리고 병의 경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정신분열증의 이해를 크게 증진시키고 있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병원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미경외 공저(2010),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군자출판사
양 수외 공저(2013), 정신간호학,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druginfo.co.kr/ (약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