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체육교육-다양한 교수전략

"체육교육-다양한 교수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1.23 최종저작일 2015.04
15P 미리보기
체육교육-다양한 교수전략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체육교육과정모형에 따른 교수전략
    2. 다양한 교수전략
    2-1. 상호작용 교수
    2-2. 스테이션 교수
    2-3. 동료교수
    2-4. 협동학습
    2-5. 자기-지도 교수
    2-6. 인지전략
    2-7. 팀 교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체육교사는 체육문화를 선도하고 보급하는 주체로서 체육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을 유도하며, 체육활동에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이다(정명수, 강완길, 백승현, 2011). 체육 수업은 실기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이론교육이 함께 이루어져,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수업의 질을 좌우한다. 실기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홍윤숙, 신소영, 2013).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체육수업의 결과에 대한 신뢰를 제공함으로서 수업 후에 가치 있는 경험이나 성취감, 그리고 만족감을 갖도록 수업을 운영해야 한다. 교사들이 하는 일 중의 대부분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교과를 가르치는 것이고,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수업을 통하여 확인한다고 볼 때, ‘수업을 잘하는 것’이 학생은 물론 교사 자신들에게도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곽은창, 1998).
    Shulman(1986)은 “가르치는데 가장 필요한 지식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교사의 지식 획득과 적용을 연구했다. 많은 연구자들 역시 교사들이 잘 가르치기 위해 교과 내용과 교수법 지식에 대하여 해박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Ball & McDiarmid, 1990; Feiman-Nemser & Parker, 1990; Grossman, 1990).
    지식의 형성과 관련된 연구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가 되어 왔으나, 체육교육 연구자들은 최근에 이르러 잘 가르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행동 연구뿐만 아니라, 교사의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과정에 대한 연구와 교사지식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기 시작했다(안양옥, 1995; 이재용, 2001). 교사의 교수지식에 대한 이해는 저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교사 시절의 교수지식에 대한 교육적 경험, 그리고 발전하고자 하는 자기성장에 대한 교육적 경험, 그리고 발전하고자 하는 자기성장에 대한 욕구 등이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수업 상황에 이용되어져야 한다.

    참고자료

    · 강신복(1993).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보경문화사.
    · 고문수(2003).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교수전략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2(5), 203-212.
    · 곽은창(1998). 고장난 학교체육. 한국체육학회보, 72, 9-14.
    · 김무영, 이승배, 문효준(2010). 한국 스포츠교육모형의 연구 동향: 성과와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2), 21-39.
    · 이재용(2001). 교사의 전문지식 형성 : 한 중학 체육교사의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2), 65-83.
    · 이충원(1998). 반성적 수업모형을 통한 체육과 교수 – 학습 방법의 개선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8춘계 세미나, 15-27.
    · 정명수, 강완길, 백승현(2011).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도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627-637.
    · 홍윤숙, 신소영(2013). 예비 생활체육 지도자의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121-1142.
    · Ball, D. L., & McDiarmid, G. W.(1990). The subject-matter preparation of teachers. In W. R. Houst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437-449). New York. Macmillan.
    · Feiman-Nemser, S., & Parker, M. B.(1990). Making subject matter part of conversation in learning to teach. Journal of Teacher Educayion, 41, 32-43.
    · Grossman, P. L.(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Hellison, D.(1982). Philosophy- Back to the drawing board.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43-44.
    · Hoffman, H. A., Young, J., Klesius, S. E.(1981). Meaningful movement for children. Boston: Allyn and Bacon.
    · Jewett, A. E.(1982). Curriculum design for fulfilling human agendas . In Education in the 80’s: Physical education. ed. C. Ulrich. Washington. DC: National Educayion Association.
    · Lawson, H. A., & Placek, J. H.(1981). Physical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Boston: Allyn and Bacon.
    · Logsdon, B. J., Barrett K. R., Ammons M., Broer M. R., Halverson E., Mcgee, R. and Roberton, M. A.(1977).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philadelphia: Lea and Febiger.
    · Metzler, M. W.(2005). Instrucy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2nd ed). Boston: Ally & Bacon.
    · Siedentop, D.(1980). Physical education: Introductory analysis. Dubuque, IA: Wm. C. Brown.
    · Siedentop, D.(1991)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usical education. (2nd ed.). Mountain
    · Thompson, M. M., & Mann, B. A.(1981). An holistic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Objective classification system for elemantary schools. Champaign. IL: Stipes.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