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7.01.22
- 최종 저작일
- 2016.08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Ⅰ. 서 론
1. 문 헌 고 찰
1) 정의
2) 식도와 위의 구조 및 기능
3) 원인 및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예방 및 치료 / 간호
Ⅱ. 본 론
1. 간 호 력
1) 성인 건강사정 도구 (일반정보)
2) 통증사정 (NRS & PQRST)
3) 활력 징후 측정 결과
2. 임상병리검사
1) 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3. 영상의학검사
4. 약 물 정 보
1) 경구제
2) 주사제
5. 간 호 과 정
Ⅲ.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문헌고찰
1) 정의 : “위 식도 역류질환”은 식도로 역류된 위의 내용물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하며,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2) 식도와 위의 구조 및 기능
1. 식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식도는 인두와 위 사이의 소화기관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음식물을 위 내로 이동시킨다. 양쪽 끝은 조임근이 존재하여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음식물이 인두 내로 들어오게 되면 상부식도조임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을 식도로 들어가게 한다. 음식물이 식도 내로 들어온 후에는 조임근이 닫혀 역류되지 않게 한다.
식도벽은 근육층이 존재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연동운동이 이루어지며, 음식물이 아래로 내려가면 하부식도조임근이 열리면서 위 내로 음식물을 이동시키고, 이후 하부식도조임근이 닫혀서 위 내로 들어간 음식물이 식도 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2. 식도의 기능
■ 소화가 일어나지 않고 음식물을 위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 수축과 이완을 통해 연동운동을 함으로써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 식도의 위와 아래에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조임근이 존재하여 위로 내려간 음식물이 다시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3. 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우리가 입을 통해 먹은 음식물이 통과하는 소화관은 크게 식도, 위, 소장, 대장으로 나누어진다. 위는 식도와 십이지장 사이에 위치한 주머니 모양의 소화관으로,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직경이 크고 배의 왼쪽 윗부분인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한다.
성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신의 주먹 두 개의 크기이며 신축성이 있어 잘 늘어난다. 위는 식도와 연결 부위에 있는 분문과 십이지장과 연결 부위에 있는 유문이라는 두 괄약근이 있어 위 내의 음식물이 식도나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조절하고 있다.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 현문사, 2014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Ⅱ』 , 현문사, 2014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Ⅰ』 , 정담미디어, 2013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Ⅱ』 , 정담미디어, 2013
차영남 외 4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2013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이미지 참고 : http://www.google.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terms.naver.com/list.nhn?cid=51007&categoryId=51007)
삼성서울병원 건강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