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2. 본론
A. 문헌고찰
1) 흉통
2) 심근경색
3) CAG
B. 응급환자 문제해결 과정
1) 문제진술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4) 처치 및 평가
5) 간호진단
3. 결론 및 평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2012년 사망원인 순위를 보면 한국인의 10대 사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폐렴, 만성하기도 질환인데, 간 질환, 운수사고, 고혈압성 질환으로 총사망자의 70.5%로 전년과 유사하고 전년대비 심장 질환의 순위(3위->2위)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간호학생은 급성심근경색증 대상자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증상, 징후에 따른 신속하고 정서적인 안위를 도모하는데 초점을 두고 본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B. 연구대상 및 방법
a. 연구대상
2014년 6월 1일부터 학동 전남대학교 병원 응급실에 입원한 김❍❍님 대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김❍❍님은 F/36세 환자로 4일전에 발생한 Chest pain으로 본원 ER통해 내원하였다.
b. 연구방법
2014년 6월 1일부터 2014년 6월 4일까지 chart, lab 결과, 간호기록지, 신체검진 등을 통하여 김❍❍님(F/36세)에 관한 기초자료 및 검사자료를 얻고, 인터넷 검색, 문헌고찰 등을 이용하여 이 질병에 관하여 일반적인 자료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간호진단과 그에 대한 사정 및 계획을 하였다.
2. 본론
A. 문헌고찰
1) 가슴통증 chest pain
❏정의
흉통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가슴 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을 말한다. 흉통, 흉부 불쾌감은 흔한 증상으로 전체 진찰받는 환자의 약 1~2%를 차지하며, 응급실 입원 환자의 약 1.9%를 차지한다.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원인 질환에 따라 임상적 중요도 및 경과가 매우 다르므로 세심한 진단이 필요한 증상이다.
종류별 관련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심장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대동맥 판막 질환(협착증, 폐쇄부전증), 급성 심낭염, 급성 심근염, 승모판 탈출증, 심근병증, 심내막염 등
- 대동맥 질환: 대동맥 박리, 대동맥벽 혈종, 대동맥벽 궤양, 대동맥류
- 폐 질환: 폐동맥 색전증, 폐동맥 고혈압, 기관지염, 폐렴, 폐암
- 식도 질환: 역류성 식도염, 식도경련, 말로리 와이스 손상(Mallory-Weiss tear), 식도 파열
- 늑막 질환: 늑막염, 기흉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www.mw.go.kr)
서울대병원(www.snuh.org )
킴스온라인www.kimsonline.co.kr/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sev.iseverance.com )
성인간호학 (조경숙, 김희경 외 3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p619~763)
간호과정(최순희저, 간호과정, 현문사, p56~82)
성인간호학 임상실습메뉴얼(노영숙, 이숙정 외 3명 저 , 현문사, p10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