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과 자유학기제의 주요 추진 성과 및 쟁점들을 알아보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제시해보자.
- 최초 등록일
- 2017.01.05
- 최종 저작일
- 2017.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과 자유학기제의 주요 추진 성과 및 쟁점들을 알아보고 실현가능한 대안을 제시한 A+ 학점을 받은 소중한 레포트자료입니다. 좋은 Sample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추진 배경 및 경과
Ⅱ. 본론
1. 외국의 자유학기제
2. 우리나라 자유학기제 주요 추진 성과
3. 자유학기제를 둘러싼 쟁점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추진 배경 및 경과
최근 OECD 등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들은 청소년들이 교과 지식에 대한 수용과 습득보다는 미래사회에 능동적인 대처를 위한 역량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OECD DeSeCo 프로젝트)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가 OECD 23개 국가중 23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학업성취도는 세계 최고 수준인 것에 비하면 상당히 암울한 결과이다. 2008년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11.2%, 중학생의 34.4%, 고등학생의 32.3%가 장래희망이 없다고 답했다. 이들은 장래희망을 결정하지 못한 주된 이유로 ‘자기 자신에 대한 탐색과 고민의 시간과 계기가 부족한 것’을 꼽았다. 이에 자유학기제를 처음으로 제안했던 문용린 교육감은 2012년 11월 29일 후보 공약 검증 토론회에서 ‘중1 시험 폐지 공약’과 관련하여 요즘 학생들은 입시 중심의 무한경쟁 속에서 ‘급행열차’를 타고 달리고 있기에 교육적으로는 질이 낮은 교육, 엄청난 투입에 비해 교육적 효과가 낮은 고비용 저효율의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참고 자료
교육부(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2013.5.28.) 교육부:공교육진흥과
사회발전연구소(2012). 2012년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서울: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한국고용정보원(2008). 진로에 대한 청소년 의식조사. 한국고용정보원
박휴용(2015). 자유학기제 실행과정에서의 정체성 갈등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김진섭·문성배(2015).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부산대학교
좋은교사운동(2013). 자유학기제, 어떻게 할 것인가?
손희권(2013). 자유학기제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교육부(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확정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