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염상섭(廉想涉, 1897~1963)이 1931년 1월 1일자에서 9월 17일자까지 <조선일보>에 연재한 <삼대>(三代)는 당시까지의 사회사를 할아버지-아들-손자로 이어지는 한 가문의 내력을 들어 각 세대의 사고방식 차이를 통해 시대 변화를 뚜렷하게 나타낸 작품이다.기존의 논의가 <삼대>를 파악하는 큰 줄기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삼대>를 가족사 소설로 보는 견해이고, 두 번째는 리얼리즘 소설로 보는 견해이며, 세 번째는 세태소설로 보는 견해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삼대>의 갈래론과 그 특성을 하나씩 살펴보고, 실제로 <삼대>가 실려 있는 국어교과서인 국어 (상)에서는 어떠한 견해를 견지하고 있는지 알아본 후 교과서 구성과 학습목표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중 략>
3. <삼대>의 갈래와 교과서 구성
<삼대>는 고등학교 국어 (상) 교과서에 8단원 언어와 세계에 실려 있다. 이 단원의 학습목표는 첫 번째,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의 관계를 안다. 두 번째, 문학 작품에 드러난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세 번째, 문학 작품을 수용할 때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기른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교사용 지도서 국어 (상), 서울: 두산, 2002, p.363.
-라고 되어있다. 이에 따른 단원교수 · 학습계획을 살펴보면 학생들이 <삼대>를 통해 이해해야 할 것은 ① 작품의 현실 반영적 특징, ② 작품과 작가의 창작 동기의 관계, ③ 작품과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의 관계, ④ 풍속과 사회적 · 문화적 상황, ➄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의 이해와 작품 수용의 관련성이다. 이러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활동으로는 ① 인물의 가치관 파악하기, ② 작품이 반영하고 있는 사회적 · 문화적 상황 조사해 보기, ③ 사회적 · 문화적 상황과 작가의 창작 동기 관련짓기, ④ 작품이 반영하고 있는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을 자신의 현실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기 숫자는 임의로 필자가 단 것이다. (위의 책, p.364.)
가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