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적 및 원리
2. 시약 및 준비물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고찰
6. 요약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DNA 추출 법
* 알칼리 용해법
알칼리 용해 방법은 NaOH/SDS에 의해 세포막의 인지질과 단백질 성분을 용해시켜서 DNA를 얻어내는 방법이다. NaOH를 세포 추출물, 혹은 용해질 에 첨가하여 pH가 12.0~12.5로 되면 DNA의 수소결합이 깨져 이중나선 구조가 풀리게 되고, 두 개의 polynucleotide 사슬이 풀려 단가닥 선형 DNA구조가 된다. 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면 박테리아 선형 DNA는 응집된 다. 박테리아 DNA를 포함한 불용성 물질이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되면 순 수한 플라스미드 DNA가 상층액에 남게 된다.
* 끓이기 방법(boiling)
고온과 세제로 박테리아 세포를 용해시킨다. 이 조건하에서 박테리아 DNA는 세포막 등과 엉켜 있게 된다. 이어 원심분리로 박테리아 DNA와 막 등의 복합체를 침전시키고 상층액에 남아 있는 플라스미드 DNA를 회수하 여 분리한다.
* 실리카 흡착법(silica adsorption), 이온 교환수지 칼럼 방법
실리카 흡착법(silica adsorption)이나 이온 교환수지 칼럼 방법은 많은 시 간을 소요하고 대량의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끓이기 방 법과 알칼리 용해법 대신에 쓰여 지는 방법으로 마지막 단계에서 상층액에 남아 있는 플라스미드 DNA를 보다 높은 순도로 보다 효과적으로 빠르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들은 친매성 기질을 이용한 방법이다.
알칼리 용해법이나 끓이기 방법은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하며 대량의 시료 로부터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마지막 단계에서 상층액에 남아 있는 플라스미드 DNA를 보다 높은 순도로 보다 효과적으로 빠르게 얻기 위해 친매성 기질을 이용한 방법인 을 주로 이용 한다.
염이 있을 때 실리카 레진이 핵산과 서로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 다. 고농축의 염 용액이 DNA 분자를 실리카 레진이 함유된 칼럼(column) 에 단단히 붙어 있게 하고, 염이나단백질 등의 기타 불순물은 수세과정에 서 제거시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