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분만 방법과 간호에 대해 자세히 기술한 자료로,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였고, 교수님 피드백을 받아 꼼꼼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1. 적응증
2. 금기증
3. 유도분만 결정
4. 자궁목 연화
5. 옥시토신(피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6. 인공 양막파막술(Artificial rupture of membranes, AROM)
7. 참고문헌
8. 느낀점
본문내용
정상적으로 임신한 여성들은 만삭이 되면 자연스럽게 분만이 시작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분만과정을 시작하거나 분만과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필요하다 유도분만은 자연분만이 시작되기 전 분만을 하도록 내과적, 외과적인 방법으로 자궁 수축을 자극하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적응증
▸모성측
●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 분만예정일 2-3주 전에 분만 유도
● 자궁 내 환경이 태아에게 부적당할 때
● 조기양수파막 : 파막 후 24시간 이상 되면 자궁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
● 융모양막염
● Rh 동종면역 : 임신 말기에 Rh 항체치가 상승되면 모성이 감작됨을 의미하며, 태아 적아구증을 예방하기 위해 분만을 시도
● 임신지속과 함께 악화된 모성의 의학적 상태 : 신장질병, 폐질병, 심장질병
▸태아측
● 자궁내 태아 사망 : 태아사망으로 진단되면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 및 정서장애로부터 모성을 보호하기 위해 시도
● 과숙(재태 42주 이상) : 지연임신으로 태아부전을 초래할 수 있음
● 자궁 내 태아 성장장애와 태아질식 및 사산되었을 때
<중 략>
자궁목 연화
자궁목을 부드럽게 하고 자궁목 개대를 더 용이하게 만드는 시술로 유도분만 시 흔하게 시행된다. 대부분 유도분만 하기 전날 행해진다.
내과적 방법 : 프로스타글란딘 E₂(PEG₂)는 자궁목을 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약물로 임신 중기에 중절이나 자궁 내 태아의 사망 시에 질내 젤, 자궁목내 젤, 그리고 시간계약 질내 삽입으로 투여된다. 경부숙성과 자궁 수축력을 모두 촉진하지만 과도한 자궁수축을 유도하는 단점이 있다.
Bishop 척도 3점 이하 시 경관내에 삽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파수가 되면 사용할 수 없고, 질 내 삽입은 Bishop 척도가 6점일 때 효과적이며 파수 후에도 사용 가능하다. 자궁경관의 연화, 개대, 소실(거상)을 일으키고 이런 변화는 자궁수축 없이 일어나지만 옥시토신에 대한 자궁근층의 민감도를 높이게 되며, 접합부의 간격 형성을 촉진시켜 효과적인 자궁수축을 가져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