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 형태의 대표적인 Intel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명령어 수준에 완벽하게 호환됨은 물론, 파이프라인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가정하여 제시할 것이며, 본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중앙처리장치(CPU)에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머신 사이클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6.12.13
- 최종 저작일
- 2016.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8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CISC 형태의 대표적인 Intel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명령어 수준에 완벽하게 호환됨은 물론, 파이프라인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가정하여 제시할 것이며, 본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중앙처리장치(CPU)에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머신 사이클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논한 A+ 학점을 받은 소중한 레포트자료입니다. 좋은 Sample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Intel 8051 Micro Controller
2. 머신사이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휴대기기의 급속한 발전과 필요성에 의하여, 필수적으로 내장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설계가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클로 컨트롤러를 설계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고성능, 저전력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장형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의 크기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의 크기를 되도록 작게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1980년 Intel사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며, 이후 제어를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복잡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 계열에서는 독보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이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판되는 8051 호환 마이크로 컨트롤러들은 초기 설계 및 성능을 그대로 답습했으므로, 고성능, 저전력이 요구되는 현대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호환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 8051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필요해 진 것이다.
참고 자료
김휘원, 다중연산장치 Processor의 명령문을 위한 pipeline의 구조적 난점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전문대학교 학위논문, 2006
한상영 외, 다중 연산 장치 프로세스의 개선된 명령문 다중 발진 논리, 정보과학회논문지 제19권 3 pp.314-326, 1992
남승석, 효율적인 성능을 갖는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설계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