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반투명 건물 외피
0. 건물 외피
■ 사전적 – 내부 볼륨을 감싸는 건물의 외부 부분을 일컫는 용어
■ 비, 바람, 눈 등 외부의 자연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요구와 안전, 보안 등 인위적인 요구에 의해 결정되는 건물의 외피는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기능과 더불어 내부 공간과 외부환경 사이에 균형유지기능을 갖추어야 함
1. <물체=>투명도
■ 모더니즘 건축 초기부터 디자이너들은 꾸준한 연구를 통하여 더 가볍고 투명한 건물 외피를 선호하였으며, 이는 20세기 건축의 상징
■ 판스워스 하우스 – 보통 모더니즘 정수의 궁극적인 기념비이자 완고한 건축적 교만의 대표적인 예인 판스워스 하우스는 모더니즘 운동의 아이콘 중 하나
■ 글라스 하우스 –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공간의 척도이다. 주변의 자연세계에 시각적으로 열려 있는, 그러는 그와는 엄격한 대비를 이루는 집으로 빛이 흘러 넘침
■ 내·외부 공간의 시각적 연계를 위해 바닥에서 천장까지 통유리창을 사용함
■ 건물 외피가 없기 때문에, 열교환이 너무 잘 이루어 짐
■ 이러한 외피를 사용한 주택은 태양의 열로 온실효과를 만들어 내고 불쾌한 실내환경의 원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