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 임부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6.12.11
- 최종 저작일
- 2014.07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문헌고찰
1. 임신생리
2. 임부간호
(1) 임부사정
1) 산과력
2) 신체검진
3) 검사실 검사
(2) 태아사정
1) 태아심음청취
2) 자궁저부 높이 측정
3) 태아 제태연령
4) 검사실 검사
(3) 임부요구 및 불편감
(1) 개인위생과 일상생활
(2) 물질남용
Ⅱ. 간호진단 목록
Ⅲ. 간호과정
1)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
2) 소화기계 프로게스테론 영향과 관련된 변비
Ⅳ. 참고문헌
Ⅴ. 느낀점
본문내용
1. 문헌고찰
<임신생리>
gravida: 임부
para: 산부
preterm: 조기분만(20~37주)
postterm: 만기 후 분만(42주~)
* 융모성선자극호르몬(hCG)
- 가장 초기에 임신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표식
- 수정 후 7~10일에 확인 가능
- 임신 60~70일에 최고량, 임신 80일 이후 점차 감소
- 높은 hCG: 비정상임신(ex.다운증후군), 다태임신
- 낮은 hCG: 자궁 외 임신, 유산
- 혈청, 소변(아침 첫 소변)에서 검출
* 임신의 징후
1) 추정적 징후: 임부가 느끼는 주관적 변화, 임신이라고 확실하게 진단내릴 수 없다.
- 유방의 민감성 증가, 무월경, 오심, 구토, 빈뇨, 피로, 첫 태동(임부의 지각)
2) 가정적 징후: 검사자에 의해 감지되는 객관적 변화, 임신 확증은 아니다.
- Goodell's sign: 5주, 자궁 경부 끝이 부드러워짐
- Chadwick's sign: 6~8주, 질 점막이 자청색으로 변함
- 임신반응검사: 임부의 혈장과 소변 내 hCG
- Braxton-Hicks contraction: 간헐적 불규칙적 무통성 수축
- Hegar's sign: 6~12주, 자궁협부가 부드러워짐
- 부구감: 태아가 양수속에서 가볍게 떠올랐다가 다시 가라앉을 때 부드럽게 치는 것이 손가락에 느껴짐.
3) 확정적 징후: 초음파와 방사선, 태아의 심박동, 검사자가 태아 움직임을 촉지한다.
* 자궁저부의 높이 변화
- 7주: 큰 달걀크기, 만져지지 않음
- 10주: 오렌지크기(비임신의 2배)
- 12~14주: 자몽크기, 자궁저부는 치골결합 위에 위치
- 16주: 난형, 자궁저부는 치골결합과 제와부 사이
- 22~24주: 자궁저부는 제와부 수준
- 36주: 자궁저부는 검상돌기 수준, 가장 높은 수준
- 38~40주: 태아하강, 자궁저부가 검상돌기 밑으로 하강
- 미산부는 분만 시작 2주전에 하강이 일어나고, 다산부는 분만 시작시 일어남
참고 자료
제6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Ⅰ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 수문사
모성ㆍ여성건강간호학Ⅰ / 유은광 외 / 현문사
표준화된 간호진단(NANDA) 결과(NOC) 중재(NIC)의 연계 / 최순희 외 / 현문사
제3판 여성건강간호학Ⅰ / 이영숙 외 /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차영남 외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