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fracture) 에 관한 문헌고찰입니다. 처음부터 자세하게 설명해서 그대로 내도 괜찮습니다. 추가자료, 참고자료까지 있어서 완벽하게 했으니 과제나 간호과정할때 사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목차
1. 뼈의 구조와 기능
2. 정의
3. 원인
4. 종류
5. 증상
6. 진단검사
7. 합병증
8. 치료
9. 간호
10. 추가 자료&참고자료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뼈의 구조와 기능
(1) 뼈의 구조
➀ 육안적 구조
- 장골은 중앙에 뼈몸통(골간)과 양 끝의 말단 근위골단과 원위골단으로 이루어짐
- 골간 : 안쪽부터 골수강, 황색골수가 있고 이는 골내막에 쌓여있어 치밀골과 구분
- 골단 : 뼈가 성장하는 부분으로 연골이나 판에 의해 골간과 분리되어 있으며 성장이 완료될 경우 뼈로 대치되며 골간과 연결됨
- 골막 : 뼈를 덮고 있는 두 개의 결합조직층(외층과 내층)으로 건과 인대가 뼈에 부착 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
- 외층 : 혈관과 신경의 공급이 풍부
- 내층 : 샤아피 섬유라는 교원질 다발이 뼈에 부착
➁ 현미경적 구조
* 하버시안계 : 뼈의 기본 구조로 조직된 구조적 단위로 중심에 뼈의 장축을 따라 하버시안관이라는 중심관이 있음
- 치밀골 : 틈새가 적고 매우 조밀하고 단단함
- 해면골 : 여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 압력을 잘 받아드릴 수 있는 구조
(2) 뼈의 기능
● 신체의 형태를 제공, 체중부하, 직립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근육의 건의 작용으로 주위조직을 지지한다.
● 부착된 근육과 관절 구조물과 함께 자발적인 운동을 하게 한다.
● 심장과 폐와 같은 주요 내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 조혈작용 (적골수에서 혈액세포를 생산)
● 무기질 저장 (뼈대는 칼슘, 인산의 중요 저장고/ 마그네슘, 나트륨과 같은 이온들이 저장)
2.정의
-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염좌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3.원인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
●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 -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
●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 -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
참고자료
· 김금순 외 7명 (2015,01,20). 성인간호학1 . 수문사
· 전시자 (2000. 02. 25). 성인간호학 상 . 현문사
· 손정태 외 8명 (2015.02.10).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 http://blog.naver.com/cuddle1/220588640473
· http://blog.naver.com/fox1412a?Redirect=Log&logNo=1301813938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