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개혁의 배경
조선조 500년간 봉건사회 : 봉건적 토지소유 → 농업 생산력의 발전 x
구한말 토지제도 개혁+일제의 토지조사사업 : 지배체제를 유지하고 보강하기 위한 세제의 근대화
<중 략>
- 북한의 토지개혁
토지개혁에 대한 저항
3월 7일과 9일 평양에서 공산당위원회건물에 수류탄이 투척됨
평남인민위원회에서는 조선민주당원들이 의도적으로 태업을 하고 급기야는 회의장에서 퇴장하기도 함
평안남도 강동군 - 지주끼리 의논하여 토지개혁에 적극 참여한 읍 경찰국장을 구금
황해도 해주 - 200여명의 중학생들이 수업거부
함흥(咸興)에서도 3월 13일 의전, 농업전문학교 학생들과 6개 중학교 학생들 2,640명이 자주독립과 식량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시위
사리원 - 토지개혁과 김일성을 반대하는 전단이 살포됨
신막 - 월남한 지주들의 아들 여덟 명이 무장조직을 결성하여 토지개혁을 조직적으로 방해함
저항은 대체로 황해도와 평안 남•북도의 서부평야지대에 집중(전통적으로 지주가 많은 지역)
참고자료
·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역사문제 연구소
·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 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용욱.
·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강만길.
· <해방전후사의 인식1,5> 한길사.
· <해방전후사의 재인식2> 책세상사.
· <땅과 한국인의 삶> 토지공사.
· <남•북한 농지개혁 비교연구-민족주체적 시각에서> 강정구.
· <사립대학 팽창과정 탐색:해방 후 농지개혁기를 중심으로> 오성배.
· <토지개혁 이후 북한 농촌사회의 변화> 이주철.
· <북조선 사회주의 체제 성립사> 선인사. 서동만.
· <북한의 사회> 을유문화사.
·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