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분배성장이론
- 최초 등록일
- 2016.11.22
- 최종 저작일
- 2016.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지역정책 이론과 재분배성장이론의 개념, 재분배성장이론의 장점, 문제점, 의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정책 이론과 재분배성장이론의 개념
2. 재분배성장이론의 장점
3. 재분배성장이론의 문제점
4. 재분배성장이론에 대한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인류가 태초에 나타나서 살기 시작한 곳은 한 곳이라고 성경이나 종교에 관련하는 사람들은 이야기한다. 그러나 인류가 발전함에 따라서 사람들은 많은 곳으로 흩어져서 살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서 새로운 개념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지역이라고 하는 개념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이라는 곳은 생태와 환경, 인구의 구성이나 사회 조직체계의 형성 기본단위가 되기도 하면서 정치나 경제 교육의 문화를 이루는 기본적인 장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지역이라는 의미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일정하게 구획된 어느 범위의 토지, 전체 사회를 어떤 특징으로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이라고 정의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은 그에 알맞은 범윌르 가지고 있는데, 최근 이러한 지역의 범위가 과학의 기술 발달과 문명수준의 발달로 인하여 세계를 하나의 지역사회로 보고 활동할 수 있는 세계화라는 단위를 만들어내게 되었고, 이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지역의 범위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발전되고 있다고 하는 점이다.
본래 한 국가는 여러 가지의 지역으로 구성되어있는 지역공동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은 물리적이고 사회적이며 경제적, 역사적 혹은 지리적인 조건 등이 상이하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각각의 다른 특성을 갖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지역주의라는 것이 나타나기도 한다. 지역주의란 본래 지역의 특수성을 살리고 지역 내의 자치성을 추구하는 주의라고 사전에서 정의하고 있다. 즉, 지역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인정하며, 시장기구를 통하여서 서로 다른 지역의 성장을 도모하는 공간적인 분화현상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과 경제의 분화는 고대사회에서부터 나타났던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한반도를 구역으로 나누어서 나라를 세우고, 조선이 되어서 한반도를 8도로 나누었던 것처럼 우리는 꾸준한 역사를 통하여서 지역을 나누고 이를 통한 지역주의가 나타나게 되었다.
참고 자료
김수신,고병호. 『지역개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4.
염명배. 「‘지방분권’ 및 ‘국가균형발전’과 재방재정: 국세·지방세 재분배문제를 중심으로」.
이성근외. 『지역개발론』. 집현재. 2013.
정상준. 「자본축적과 분배의 동학: 칼레츠키언 실증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마르크스주의 연구』. 12(4). 2015. pp.150-181.
차미숙. 「세계화시대의 지역균형발전과 EU의 지역정책: EU의 구조기금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1. 2001. pp.99-119.
김용웅. 『지역개발론』. 법문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