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신우신염 환자의 간호진단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교수님께 깔끔하게 잘 정리했다고 칭찬받은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3개 이외에 추가적 간호진단도 여러 개 있습니다.
목차
1. 간호력
2. 질병의 기술
3. 간호사정
4. 입원중의 처치
5. 진단검사
6. 수술방법(해당환자) 및 입원 후 경과기록
7.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병태생리
신우신염은 신 실질과 집합체계의 염증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감염이지만 곰팡이, 원충이나 바이러스도 종종 신장을 감염시킨다.
신우신염은 요도구의 상행성 경로를 통한 하부 요로계의 감염과 균집락화로부터 시작한다. 원인균은 보통 E. Coli, Proteus, Klebsiella나 Enterobacter 등과 같은 장내 세균이다. 하부 소변이 상부로 역류하는 방광요관 역류 또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요로폐색, 요로협착, 요로결석 등에 따른 하부 요로계 기능장애가 종종 선행요인이 된다.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유치도뇨관이 신우신염과 요로성 패혈증의 흔한 원인이다.
급성 신우신염은 흔히 신수질에서 시작하여 인접 피질로 파급된다.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은 임신으로 인한 요로계의 생리학적 변화이다. 신우신염의 재발, 특히 폐색성 기형이 있는 경우에는 신장의 반흔과 기능 저하를 초래하는데, 이를 만성 신우신염이라고 한다.
(2) 사정: 임상소견, 진단검사
급성 신우신염의 임상증상은 가벼운 피로에서부터 갑작스런 오한, 발열, 구토, 쇠약, 옆구리 통증 이외에도 배뇨곤란, 긴박뇨, 빈뇨 등을 보이는 방광염과 같은 하부 요로계 증상 등으로 다양하다. 늑골척추각 압통은 전형적인 증상으로, 이환된 쪽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임상증상은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며칠 안에 사라지나, 세균뇨와 농뇨는 지속된다.
소변검사는 세균뇨, 농뇨, 혈뇨 등을 알려준다. 신 실질의 침범을 시사해주는 백혈구의 원주(cyst)가 소변 속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전혈구검사에서 백혈구 증가가 나타나고 미성숙한 중성구가 증가한다. 신우신염이 의심되면 소변 배양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입원할 정도로 심한 환자라면 혈액 배양검사도 실시한다.
수신증, 신 농양, 결석 등과 같은 해부학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를 실시한다. CT urogram은 신기능장애, 반흔, 만성 신우신염, 농양과 같은 신우신염의 합병증과 신장감염을 사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참고 자료
Sharon L. Lewis 외, 2014, Medical-Surgical Nursing, Mosby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2013, 성인간호학1, 정담미디어
박은영 외,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4,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강현숙 외, 2014,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수문사
김현철 외, 2009, 통합강의를 위한 신장학, 이퍼블릭
이우주 외, 2013, 이우주의 약리학강의, 의학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