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능동 저역통과필터(LPF)
1) 실험 목적
2) 기초 이론
3) 예비 과제
4) 실험 기기 및 부품
5) 실험 절차
2. 능동 대역동과필터(BPF)
1) 실험 목적
2) 기초 이론
3) 예비 과제
4) 실험 기기 및 부품
5) 실험 절차
본문내용
1. 능동 저역통과필터(LPF)
1. 실험 목적
(1) OP-AMP를 이용하여 능동 2차 LPF를 부귀환 방식으로 구성하고, 필터 특성을 측정
한다.
(2) LPF 필터의 주파수 변화에 의한 진폭특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2. 기초 이론
(중략)
4. 실험 기기 및 부품
(1) 직류 전원 공급기 1 대
(2) 오실로스코프 1 대
(3) 저주파신호 발생기 1 대
(4) OP-AMP LM741CN(1 개)
(5) 저항 68 ㏀(2 개)
(6) 콘덴서 0.0033 ㎌(2 개)
(중략)
(5) 그림 19-2 회로의 통과대역 리플(Vout(t:f)max/Vin(t:0))을 측정하여 표 19-2에 기록
하여라.
통과대역 리플은 이득이 1이어야 하는 부분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출렁거리는 진폭을 측정한 것이다. 말하자면 노이즈 같은 것으로, 실험 (4)의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 리플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제 소자로 실험하면 다를 수 있다.
(중략)
2. 능동 대역동과필터(BPF)
1. 실험 목적
(1) OP-AMP를 이용하여 능동 2차 BPF를 정귀환 방식으로 구성한다.
(2) 필터 특성을 측정한다.
(중략)
그림 20-1은 기본적인 대역통과필터이다. 이 회로에서 Q는 10보다 적고 반전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OP-AMP에 정귀환 방식으로 연결한 2차 능동 대역필터이다. 일반적으로
대역필터는 W0에 있어서 출력은 최대로 되고, 공진 특성으로 되어 있다. Q가 작을수록 설
계가 용이하고 통과 대역 내에서 균일한 이득을 갖게 된다. Q가 큰 경우에는 통과대역이
작게 되어 실제의 회로구성에서 상당히 어려운 점이 따르게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